열기

삼성·현대차·한화 "임원들, SKT 유심 즉시 교체하라"

(6) 휴대전화
추천 12 조회 1213
잠자르

상황이 매우 심각한듯..

 

https://www.chosun.com/economy/industry-company/2025/04/25/TPPZOGTRH5H33GA5ATBLB6VVVY/

삼성·현대차·한화 "임원들, SKT 유심 즉시 교체하라"

 
25일 서울의 한 SK텔레콤 대리점에서 유심 카드를 들어 보이고 있다./연합뉴스https://www.chosun.com/resizer/v2/2UBZSXCOXNDRT76RF2EYDQEE7Q.jpg?auth=c48e8a32ddbce6f78f2ad9b3ed25e5ad7ef5fbbd9a106ea60e3e58b110c2b041&width=464 464w,https://www.chosun.com/resizer/v2/2UBZSXCOXNDRT76RF2EYDQEE7Q.jpg?auth=c48e8a32ddbce6f78f2ad9b3ed25e5ad7ef5fbbd9a106ea60e3e58b110c2b041&width=616 616w" decoding="async"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obejct-fit: cover; width: 328px; margin-top: 0px;" />
 
25일 서울의 한 SK텔레콤 대리점에서 유심 카드를 들어 보이고 있다./연합뉴스

SK텔레콤의 해킹 사고와 관련해 재계에서 ‘유심 교체’를 지시하거나 권고하는 일들이 잇따라 벌어지고 있다. 이미 삼성, 현대차, 포스코, 한화, HD현대 등 국내 주요 그룹의 임원 수천 명이 유심(USIM·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 교체를 시작했다. 전체 직원들의 교체 권고나 지시로 퍼져나갈 수 있는 상황이다.

현재 사고 발생 후 구체적인 피해가 확인된 것은 없다. 하지만 기업들은 이 사건이 비즈니스 경쟁력에 타격을 줄 수 있는 대형 사고로 번지는 만일의 사태를 우려한다. 휴대전화 전원이 꺼진 경우나 비행기 모드로 변경했을 때 휴대전화 사용 주도권이 해커 등 외부 세력에게 탈취될 수도 있고, 이 과정에서 중요 정보가 유출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선제 대응으로 이 가능성을 줄이려고 하는 상황이다. 특히 지난 2023년 LG유플러스 개인 정보 유출 사건 때도 경위가 파악되는 데만 3개월이 걸렸다. SK텔레콤 역시 피해 범위나 영향 등을 아직 특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 사건 역시 진상 규명이나 영향 분석 등에 시간이 오래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기업들이 예방 조치에 나선 것이다.

그래픽=송윤혜https://www.chosun.com/resizer/v2/VZ4PPCIIIRGFVOOBSVTFK2OKOM.png?auth=02fd5cd71b90eab74b886561a1b8893afcd21a40dd4ce0a3de6735ab11984d69&width=464 464w,https://www.chosun.com/resizer/v2/VZ4PPCIIIRGFVOOBSVTFK2OKOM.png?auth=02fd5cd71b90eab74b886561a1b8893afcd21a40dd4ce0a3de6735ab11984d69&width=480&height=888&smart=true 616w" decoding="async"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obejct-fit: cover; width: 328px; margin-top: 0px;" />
그래픽=송윤혜

◇주요 그룹들 일제히 선제 조치 중

재계에선 삼성과 현대차가 가장 적극적으로 움직였다. 삼성전자는 지난 23일 오후 임원들에게 “SKT를 쓰는 사람은 즉시 유심을 교체하라”고 지시했다. 작은 정보가 새는 것만으로 경쟁력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반도체, 스마트폰 등이 주력 사업인 만큼 내부의 경각심이 컸던 것으로 전해진다. 삼성전자를 시작으로 다른 주요 계열사들도 24~25일 이메일 등으로 공지를 하며 유심 교체가 이뤄지고 있는 중이다. 한 계열사 임원은 “이 사고 여파로 스마트폰을 타고 내부 네트워크가 뚫릴 수 있다는 우려가 일부 제기됐던 것으로 안다”면서 “대부분 계열사가 사실상 의무적으로 교체하라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고개 숙인 SKT -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25일 서울 중구 SK텔레콤 사옥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 참석, 허리를 숙여 고객들에게 사과하고 있다. SK텔레콤은 해킹으로 유출된 유심 정보 악용을 막기 위해 오는 28일부터 전체 고객 2300만명의 스마트폰 유심을 무상으로 교체해 준다고 발표했다. /장련성 기자https://www.chosun.com/resizer/v2/244QCYNB7NHLNDM4RJJTLKXFRA.jpg?auth=24edd9a0fdae3d2222252e2c9eb1286a9d3e9b7de3c1e2242a8a3bdec5864c65&width=464 464w,https://www.chosun.com/resizer/v2/244QCYNB7NHLNDM4RJJTLKXFRA.jpg?auth=24edd9a0fdae3d2222252e2c9eb1286a9d3e9b7de3c1e2242a8a3bdec5864c65&width=616 616w" decoding="async"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obejct-fit: cover; width: 328px; margin-top: 0px;" />
 
고개 숙인 SKT -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25일 서울 중구 SK텔레콤 사옥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 참석, 허리를 숙여 고객들에게 사과하고 있다. SK텔레콤은 해킹으로 유출된 유심 정보 악용을 막기 위해 오는 28일부터 전체 고객 2300만명의 스마트폰 유심을 무상으로 교체해 준다고 발표했다. /장련성 기자

현대차도 SK텔레콤의 공식 교체 시기인 28일부터 임원들을 대상으로 유심을 교체하라고 안내할 예정이다. 특히 현대차는 신속한 유심 교체를 위해, 회사 차원에서 유심 칩을 여럿 확보해 주요 사옥마다 마련된 부스에서 교체할 수 있게 지원한다.

보안이 중요한 방위산업 계열사가 있는 한화와 HD현대도 빠르게 움직였다. 한화는 25일 SKT 법인 전화를 사용하는 주요 계열사 임원들에게 유심을 교체하라고 지시했다. 개인 전화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도 유심 교체를 권고할 예정이다. HD현대는 사고 발생 직후인 지난 22일 모든 계열사에 공문을 보내,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을 권고했다. 추가 조치도 내부 검토 중이다. 그 밖에 포스코그룹도 최근 주요 계열사 임원들을 대상으로 유심 교체를 권고한 상태다.. .  

게시물을 뉴스에 인용 할때는 보배드림 출처를 밝혀주세요.
열기 댓글 6 쓰기
  • ㅋㅋ ㅈㄷㄷ..
    박근혜깜빵보낸윤석열25.04.27  20:07신고
  • 유심교체해도 소용없다고 합니다.
    어제, 한국경제 뉴스 공유 드립니다.

    --------------------------
    "유심엔 A4 70장 분량 데이터 있다"…SKT 해킹, ★★유심 교체해도 2차 피해 가능성 있어★★ (2025.04.25)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4255916b

    국가전산학 박사1호이자 해킹 DB 전문가인 문송천 카이스트 명예교수는 “유심에는 A4용지 70장 분량의 민감한 데이터가 담겨 있다”며 "해커들은 가치를 지니는 정보를 노리기 때문에 유심칩의 단순 식별번호뿐만 아니라 HSS서버와 연결된 인증정보가 포함됐을 가능성이 있고, 이 연결경로가 뚫렸다면 서버 내부의 민감한 데이터에 접근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 유출된 정보는 다크웹이나 해커 커뮤니티를 통해 거래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 2차 피해 가능성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성공할거야25.04.27  20:12신고
  • 댓글
    극단적으로
    복제폰으로
    특정정당 자금당당자나
    특정정당 정치인 폰으로 북한,일본,중국등의
    딴나라들과 돈을주고받거나
    지령을주고받은 거짓증거를
    만들어 악용할수도있죠.
    잠자르25.04.27  22:13신고
  • 이게 먼난리냐 진짜 SKT어떻게 처리 하나 지켜보겠어
    응밥혀25.04.27  20:17신고
  • 스토어에서 주문하믄 배송해줘야되는거아니냐ㅡㅡ
    멍쩡아25.04.27  20:33신고
  •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가 필요한 이유.
    정랑고개25.04.27  22:36신고

파워링크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