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알루미늄·자동차, 영향 제한적 전망…"동향 예의주시"


경남도청 전경

[경남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창원=연합뉴스) 김선경 기자 = 경남도는 미국의 관세 조치가 경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등 품목별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경상남도투자경제진흥원은 경남의 자동차·부품 산업의 특수성과 철강·알루미늄 산업의 낮은 대미 의존도를 고려하면 미국의 자동차·철강·알루미늄에 대한 관세 부과는 경남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이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한다.


미국은 지난 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고, 4월 2일부터는 자동차 제품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경남의 철강 수출 비중은 전국 대비 7.5%로, 25% 관세 부과 시 연간 약 2천560만달러, 18만t(-7.1%) 수출 감소가 예상된다.


전국 대비 2%에 불과한 경남의 알루미늄 수출 규모는 관세 부과로 연간 약 120만달러, 1.4만t(-5.6%) 감소할 것으로 투자경제진흥원은 예측한다.


GM 창원공장에서 생산되는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의 경우 미국 시장에서 주요 소형 SUV로 자리잡고 있다.


관세율 25%가 적용되면 연간 판매량이 5천51대(-2.5%)가량 감소하고, 이는 약 1억달러의 수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미 시장에서 소형 SUV 수요가 높고 경남의 안정적인 생산 구조를 고려하면 실제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본다.


투자경제진흥원은 다만, 미국의 관세 정책이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고 한국GM의 철수 사례 등을 고려하면 관세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수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장기적 정책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이에 경남도는 도내 수출 중소기업이 관세 관련 애로사항을 상담할 수 있도록 경남FTA통상진흥센터 콜센터(☎055-210-3044, 6∼7)를 운영한다. 관세대응 119(코트라 운영, ☎1600-7119)도 적극 홍보한다.


김명주 경제부지사는 "미국의 관세 조치가 본격화되면 경남도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수출기업의 위기를 최소화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기 위해 경영자금 지원, 수출국 다변화 등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ksk@yna.co.kr

출처-연합뉴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