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고속차량 설계방향 토론회
[코레일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이은파 기자 = 대한민국 고속철도의 새로운 미래를 이끌 차세대 고속차량의 설계전략이 공개됐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13일 대전사옥에서 '차세대 고속차량 설계 방향 토론회'를 열고 차세대 고속차량의 설계전략 방향과 주행 핵심 성능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차세대 고속차량은 2033년 기대수명이 도래하는 초기 KTX를 대체하기 위한 고속열차로, 세계 고속철도 트렌드를 반영해 안전성과 에너지 저감, 편의성 등을 혁신하고 주행 핵심 성능을 개선한다.
먼저 안전성 강화를 위해 인공지능(AI) 등 첨단 정보기술(IT)이 적용된다.
열차 운행과 관련한 모든 기기의 상태진단을 위한 상태 기반 유지보수(CBM) 고도화, 진동과 승차감을 실시간 측정하는 주행 안정 시스템, 탈선 감지 시 자동으로 비상제동하고 선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안전 가이드 등이 도입된다.
기존보다 공기저항을 15% 줄이는 유선형 디자인과 차체 경량화, 경제적 운전을 유도하는 운전자 보조시스템(DAS), 에너지 고효율의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 등 세계적인 트렌드의 에너지 저감 기술도 구현된다.
이용객 편의성도 대폭 향상된다.
좌석과 수화물 칸 확대 등 여행객 맞춤형 공간과 화장실 고급화, 3개 등급 좌석 등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편의 설비를 갖춘다.
주행을 위한 핵심 성능인 가속을 위한 추진력과 안정적인 제동력, 기계적 성능, 소음 저감, 에너지 저감 등의 기준도 강화된다.
코레일은 차세대 고속차량 제작의 혁신적 기술을 통합하는 전담팀을 구성하고 설계전략을 담은 특수설명서 제작에 착수할 방침이다.
이기철 차량본부장은 "기계적 성능과 첨단 소프트웨어까지 국내 고속철도의 미래 청사진을 그리는 차세대 고속차량 제작을 위해 설계전략 고도화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sw21@yna.co.kr
출처-연합뉴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