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12월 상용차 리콜 8만 2,246대

성능 향상·환경규제로 리콜 증가 추세

소프트웨어 결함은 전체의 9.4% 차지



지난해 국내에서 리콜이 진행된 1톤 이상 상용차(트럭 및 버스)가 8만 대를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2024년 12월 31일 기준, 무상수리 제외) 특히 기계적 결함으로 인한 리콜이 절대 비율을 차지함에 따라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제작사들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상용차정보 종합 취재 결과 업체별 리콜 대수를 살펴보면 현대차가 4만 5,863대(55.8%)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기아 1만 9,549대(23.8%), 볼보트럭 6,998대(8.5%), 만트럭 4,081대(5%), 르노코리아 1,830대(2.2%), 스카니아 1,274대(1.5%) 순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리콜 제도는 제품에 결함이 발견돼 정부 명령에 의해 소비자에게 고지한 후, 문제가 발생한 제품을 회수하거나 수리, 교환, 환급 등의 시정 조치를 통해 소비자를 보호하는 제도다. 주로 생산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나 손상으로 인해 리콜이 발생하며, 사안에 따라 대규모 리콜로 진행되기도 한다.


차량 리콜 이유? ‘복잡한 전자 장비’

자동차리콜센터의 리콜 내용을 분석한 결과, ‘기계적 결함’이 전체 리콜의 86%(7만 767대)를 차지했다. 소프트웨어 결함으로 인한 리콜은 7,704대로, 9.4%에 해당했다.


자동차 업계는 주요 리콜 사유로 ‘복잡한 전자 장비’를 지적하고 있다. 강화된 대기환경 보전법에 따라 배기가스 배출 장치 및 전자 제어 부품이 늘어나면서, 미세한 결함 하나만으로도 차량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차량 제작사의 원가 절감 등을 이유로 부품 품질이 떨어진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아울러 전문가들은 ‘모듈화 생산’도 리콜 증가의 원인으로 꼽았다. 모듈화 생산은 부품 수를 줄이고, 여러 차종 간 부품을 공유하여 생산 원가를 낮추는 방식이다. 그러나 결함이 발생하면 부품을 공유한 모든 차종이 리콜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기계적 결함 86%, 소프트웨어 결함 9.4% 

지난해 1월부터 12월초까지 리콜된 1톤 이상 상용차는 총 8만 2,246대로, 이 가운데 7만 767대(86%)가 기계적 결함으로 리콜됐다.


대표적인 기계적 결함 사례로는, 총 2만 9,115대의 차량이 ‘프로펠러 샤프트 설계 오류’로 차량 동력 상실 가능성이 있어 리콜됐다. 그 다음으로 1만 1,784대의 차량이 ‘연료탱크 제조 불량’으로 리콜됐다. 


소프트웨어 오류로 인한 리콜은 7,704대(9.4%)였으며, 이 중 6,998대의 차량에서 ‘가변축 시스템 오류’가 발생했다. 706대의 차량에서는 ‘운전자 경고장치 관련 결함’이 발견되었고, 294대의 차량은 ‘수소 배출 장치의 불량’으로 리콜 대상에 포함됐다. 이 외에도 ‘화물 보호 장치 부재나 방향지시등 광도 부족’ 등의 기타 사유로 3,775대(4.6%)의 차량이 리콜됐다.


전자 제어 부품이 대부분인 상용차는 승용차에 비해 장착되는 부품과 기능이 많아 고장이 발생할 여지가 다분하다. 과거에는 안전과 관련된 필수 항목만 리콜 대상으로 삼았으나, 현재는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항목도 리콜 대상에 포함되어 차량 기술이 발전했음에도 리콜은 증가세에 있다. 


아울러 리콜은 차량 품질에 문제가 있다는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고, 막대한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는 반갑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리콜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브랜드가 더 신뢰받는 추세다.   


소비자 입장에서도 리콜은 당연한 권리다. 리콜은 소비자와 제작사 모두에게 번거로운 일이지만, 엄격해지는 규제 속에서 차량의 내구성을 높이고 소비자의 신뢰를 얻기 위해 기업들은 리콜을 철저히 수행해야 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준희 기자 junnypark@cvinfo.com


출처-상용차신문

https://www.cvinfo.com/news/articleView.html?idxno=28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