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차량 제작사의 배터리 ‘자기인증’ 제외
고유 식별번호 부여한 배터리 이력관리제 도입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 이하 국토부)가 전기차 배터리의 안전성을 직접 인증하고 개별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전기차 배터리의 생산부터 폐기까지 모든 과정을 관리하는 배터리 이력 관리제를 전면 시행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 정부는 전기차 화재로 인한 불안 여론을 해소하기 위해 ‘전기차 화재안전 관리대책’을 발표했다, 이를 바탕으로 배터리 인증제 시범사업을 진행해 구체적인 절차를 마련했으며 이번 달부터 전면 시행에 들어갔다.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는 기존의 차량 제작사가 배터리 안전성을 자체 인증하는 자기인증 방식이 아닌, 정부가 직접 시험을 통해 배터리의 안전성을 인증하는 제도이다.
또한, 새롭게 도입된 배터리 이력 관리제는 배터리에 개별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자동차 등록원부에 등록해 배터리의 제작부터 운행, 폐기까지 모든 과정의 이력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배터리 식별번호를 통해 정부는 배터리의 안전성 인증을 비롯해 제작 과정에서의 주요 정보를 확인 가능하며, 해당 배터리의 정비 및 검사 이력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기차 화재와 같은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원인 분석이 가능해져 배터리 안전성도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리콜 등으로 인해 배터리가 교환되는 경우에는 변경된 배터리 식별번호가 자동차 결함정보시스템에 연계되어 등록되어, 전기차 소유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김홍목 국토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배터리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은 국민 안전뿐만 아니라 향후 자동차 산업 경쟁력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며, “전기차 안전에 대한 신뢰를 구축할 수 있도록, 개정된 전기차 안전 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토부는 2027년까지 배터리 전주기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배터리 이력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관 산업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1톤 전기트럭의 배터리팩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준희 기자 junnypark@cvinfo.com
출처-상용차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