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배터리 업계, 낙관적 전망에 의존한 투자 조정 필요"


블루오벌SK 켄터키 공장

[SK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 = 순수 전기차(BEV) 수요가 기존 시장 전망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를 기반으로 추진된 국내 이차전지 업체들의 대규모 투자가 조정될 필요가 있다는 국책 연구 기관의 제언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10일 펴낸 '전기차·배터리 산업의 주요 이슈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환경 규제 등이 완화되고 화재 등 안전 문제가 비용으로 작용해 배터리 전기차 수요는 기존 전망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산업연구원은 그간 시장에서 낙관적 전망이 우세해 2030년 순수 전기차만 전체 자동차 판매의 35% 수준이 되고, 이에 맞춰 배터리 수요도 2030년까지 연평균 30% 내외의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됐지만 수정이 불가피하다고 본 것이다.


이러한 전기차·배터리 시장 상황 변화에 따라 업계 대응이 필요하다는 게 산업연구원의 진단이다.


산업연구원은 "낙관적 전망에 의존해 배터리 업계는 매우 큰 규모의 투자를 추진했거나 계획 중에 있는데 배터리 전기차 시장 동향과 새 전망 등을 기반으로 투자 계획, 가동 시기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산업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중국 전기차의 해외 시장 확대가 국내 자동차 산업에 위협 요인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중국 시장을 제외한 다른 세계 시장에서도 신규 등록된 전기차의 21%가 중국산이었다.


한국의 주요 자동차 시장 중 하나인 유럽 시장에서도 순수 전기차 가운데 중국산 비중은 올 상반기 18%를 웃돌며 빠르게 증가 중이다.


전기차 시장이 새로 형성되고 있는 후발국 시장도 사정은 비슷하다. 작년 태국 전기차 판매의 84.2%가 중국 브랜드였다.


보고서는 중국산 테슬라가 본격 수입되면서 국내에서도 중국산 전기차 비중이 작년 14%에 이어 올해 33.1%에 달한다며 중국 전기차가 높은 가성비를 앞세워 세계와 우리 시장에 침투 중이라고 지적했다.


산업연구원은 "우리 시장이나 후발국 시장 등에서는 (중국 전기차에) 가격 경쟁력이 크게 밀리는 실정"이라며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생산 방식의 혁신 및 공급망 효율화 등이 필요하고 중국의 가격 경쟁력 원천 파악을 위한 철저한 분석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cha@yna.co.kr

출처-연합뉴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