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칙한 생각이지만 미래 따지면 나을 수도

 

 자동차에 있다 보니 가끔 발칙한(?) 상상을 할 때가 있다. 국내 완성차기업의 양강 구도 형성이다. 쉽게 보면 '현대기

아 vs 나머지 3사'를 그릴 때가 있다. 현대기아차를 제외한 나머지 3사의 제품군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면 규모와 경쟁

력이 생겨 미래 지속 가능성을 높일 수도 있어서다. 물론 각 사 대주주가 모두 외국기업이라는 점에서 현실적으로 어려

운 일이지만 국내에 존재하는 한국 기업이라는 시각으로 본다면 불가능한 것도 아니라는 생각에까지 미치게 된다. 

 


 상상의 시작은 이렇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현대기아차의 국내 판매는 126만대인 반면 나머지 3사

는 26만대를 판매했다. 모두 뭉쳐도 현대기아차에 100만대나 뒤질 만큼 규모가 작다. 나아가 같은 기간 현대기아차가

320만대를 만들어 수출할 때 나머지 3사는 71만대를 해외로 내보냈는데 차이는 무려 249만대에 달한다. 그러니 나머

지 3사가 아무리 발버둥을 쳐도 현대기아차를 내수에서 절대 이기지 못한다.

 

 물론 시장에서 중요한 것은 제품이다. 그런데 제품 개발 비용의 차이는 제조사마다 크지 않다. 그러니 덩치가 작을수

록 개발 비용이 부담돼 신차 출시가 늦어지고, 그만큼 소비자 관심에서 멀어진다. 예를 들어 새로운 제품을 내놓고 각

각 5년과 7년 뒤 후속 차종을 내놓는다면 같이 지속되는 5년은 경쟁할 수 있지만 그 이후 2년은 경쟁 자체가 되지 못한

다. 따라서 7년 후 새 차를 내놓는 곳은 언제나 '판매감소-개발비용 축소-개발 기간 지연'의 악순환을 되풀이해왔다.

이때마다 예기치 못한 시장 상황으로 유동성 위기에 처하면 국내 공장의 일자리 확보 차원에서 정부 재정이 투입된다.

 하지만 다시 어려워지면 한국 내 공장은 언제든 철수 대상인 만큼 근본적인 처방이 없다면 상황은 그저 되풀이될 뿐이

다.

 

 흥미로운 것은 나머지 3사의 제품 간 시너지다. 르노삼성은 SUV 제품이 부족하고 쌍용차는 세단이 없으며, 한국지엠

은 중대형 세단이 부족하다. 그러니 제품의 보완성은 충분히 완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세 회사 모두 국내에 R&D를 가지

고 있다. 물론 르노삼성과 한국지엠의 R&D 역할은 부분적이지만 중요한 것은 개발부문 통합에 따른 시너지 향상 가능

성은 높다는 것이다.

 

 그럼 셋이 뭉쳤을 때 역할 분담은 어떻게 할까? 기본적으로 R&D는 통합으로 개발 비용을 낮출 수 있고 생산은 두 가

지 방식으로 고민할 수 있다. 지금처럼 자체 및 위탁 생산 이원화를 추구하면 된다. 동시에 3사 통합 브랜드를 만들어

각자 수출에 나설 수도 있다. GM에서 한국지엠의 주요 역할은 소형 SUV의 미국 시장 공급인 만큼 주식을 인수할 때

'위탁' 방식을 추진하면 되고, 르노삼성 또한 르노 제품을 대신 만들어 지금처럼 공급해주는 장기 계약을 맺으면 된다.

이 과정에서 세 회사의 국내 판매망을 통합하면 규모의 경제가 이뤄지고 여러 면에서 비용이 줄어 현대기아차와 경쟁

가능한 구도가 만들어진다. 물론 이때 3사 통합의 대주주는 정부가 되겠지만 훗날 경쟁력이 높아졌을 때 매각을 추진

하면 된다.

 

 사실 연간 180만대 내수 시장에서 제조사가 5곳이나 된다는 것은 시장 규모에 비해 산업이 비대하다는 것과 같다. 그

러니 수출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게 작금의 국내 자동차산업이다. 하지만 해외 시장도 점차 축소되는 분위기가 뚜렷하

다. 그러니 자체 수출망이 없는, 있어도 규모가 초라한 나머지 3사는 대주주의 의향에 따라 미래 생존이 결정되는데 당

연히 최우선은 한국이 아니라는 점에서 국내적 시각으로 보자는 뜻이다.

 

 물론 걸림돌은 엄청나게 많다. 통합에 따른 브랜드 운용과 정부의 역할론에 대한 비판도 쏟아질 것이다. 규모만 키운

다고 미래 생존을 담보할 수 없다는 힐난도 당연하다. 그러니 지금은 말 그대로 발칙한(?) 상상에 머물 뿐이다. 하지만

세 곳의 개발부문만 통합해도 경쟁력은 높아질 수 있다. 대표적으로 친환경 이동 수단의 플랫폼을 만들어 서로가 공유

하는 것만 해도 부담은 낮출 수 있다는 뜻이다. 덩치에 비해 많이 투입되는 엄청난 개발비용은 모두를 힘들게 하는 공

통 사안이니 말이다.

 

 박재용(이화여대 미래사회공학부 연구교수, 자동차 칼럼니스트)

출처-오토타임즈

 

<본 기사의 저작권은 오토타임즈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