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튜닝산업 활성화를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자동차 튜닝산업 진흥대책'을 발표했다. 지난해 8월 튜닝시장 활성화 방안을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연 5,000억원대에 머물렀던 국내 튜닝시장을 4조원 규모로 확대하고 4만명에 달하는 일자리도 창출하겠다는 게 정부 입장이다.
이번 대책방안의 골자는 튜닝규제를 합리적으로 조정하고 산업 지원 제도를 구축하자는 내용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캠핑카와 푸드트럭 제작, 등화장치(전조등 제외) 등은 승인 절차를 간소화하고 부품 인증제 도입과 보험상품 개발 등이 제시됐다. 튜닝카에 대한 보증수리 거부 관행을 개선하고, 제작단계별 자기인증제를 도입해 완성차 업체가 반제품 상태의 차를 판매할 수 있도록 했다. F1 경기장이 있는 전남 영암에는 튜닝부품 개발 및 평가를 원스톱으로 처리하는 R&D 인프라를 조성하고, 튜닝업체가 밀집한 대구에는 서비스 인프라를 육성하겠다는 안건도 제시됐다. 이밖에 지역별, 사업체 규모별 맞춤식 튜닝 지원안이 이번 발표에 담겨있다.
업계에서 주목하는 부분은 튜닝보험상품 개발과 튜닝카 보증수리 인정이다. 정부에서는 보험사가 튜닝 부품가액이 현저히 높을 경우 인수를 거절하거나 튜닝부품 가액이 표준화되지 않아 보상 과정에서 분쟁이 빈번히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또 국내외 완성차 업체들이 튜닝부품을 장착한 차에 대해 보증수리를 거부하는 약관을 운영해왔다고 설명했다.
보험업계에서는 튜닝상품의 표준화와 튜닝 제품 고지 의무화가 선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정부의 지적대로 튜닝 부품이 너무 비싸거나 가격이 일정치 않다면 상품을 구성하는 데 무리가 있다는 것. 애프터마켓 제품의 가격과 품질에 대한 신뢰 확보가 보험상품 개발의 충분조건이라는 지적이다.
완성차업체에서도 튜닝카에 대한 보증수리 확대는 민감한 사항이다. 자신들이 제작하지 않은 부품 때문에 보증수리비용이 오르면 오히려 소비자에게 피해가 갈 수 있다. 또 자동차의 복잡한 구조 상 튜닝 부품이 직간접적으로 다른 부분에까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 회사가 보증하지 않은 부품에 대해 신뢰하기 어렵다는 점도 보증확대의 걸림돌로 지목하고 있다.
정부가 튜닝산업을 육성하자고 본격적으로 나선 건 지난해부터다. 2013년 8월 자동차 튜닝시장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며 튜닝업계와 자동차애호가들은 '희망 반 의심 반'의 눈으로 일련의 과정을 지켜보고 있다. 직접적인 이해관계에 얽혀있는 완성차 업계와 보험 업계 역시 마찬가지다. 정부가 당장 얼마의 경제효과를 언급하고, 몇개의 일자리가 늘어났는지 숫자로 나타내는 성적표에만 매달려선 곤란하다. 다른 나라와 비교하며 속도가 뒤쳐졌다고 조바심을 낸다거나 치밀한 고민 없이 청사진만을 제시하지 않길 바랄 뿐이다.
안효문 기자 yomun@autotimes.co.kr
출처-오토타임즈
<본 기사의 저작권은 오토타임즈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