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셰어링에 사용되는 수입차 /사진제공=그린카

 

 '카셰어링'(Car-sharing)이 2011년 국내에 도입된 후 3년여 만에 이용자가 30만명 가까이 될 정도로 급성장하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카셰어링 등록 회원수는 29만명에 달한다. 현재 카셰어링 업계 1위인 그린카의 지난해 총 이용자수는 16만6600명으로 올해 30만명을 넘길 것으로 이 회사는 예상하고 있다.

 

 카셰어링은 최소 6시간 이상 빌려야하는 기존 렌터카 서비스와 달리 시내 곳곳에 위치한 주차장에서 30분 단위로 빌려 타는 차량 대여서비스다.

 

 카셰어링은 이용자는 자동차를 소유하지 않고도 필요한 때 차량을 이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사회적으로는 교통 혼잡, 주차장 부족, 환경오염 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공유경제 모델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렌터카와 같은 사업으로 분류되면서 주택가에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해 왔다.

 

 카셰어링 이용이 늘어나는 것은 이용이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해서다. 렌터카는 차량을 대여할 때마다 계약서를 작성하고, 면허증 등을 제출해야 하지만 카셰어링은 계약서를 작성할 필요가 없고 면허증도 회원가입 시 한번만 인증하면 된다.

 

 또 대여비용도 중형차는 시간당 6000~7000원이고, 수입차는 1만원대에 그친다. 여기에 이용거리(km)에 따라 170~200원의 운행비를 곱해 추가로 지불하면 된다.

 

 카셰어링 확산의 핵심 변수는 무인으로 차량을 대여를 해주는 '주차장'이다. 카셰어링은 차량을 빌린 곳에서 다시 반납하는 게 원칙으로 주차장이 곳곳에 있어야 이용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카셰어링 업체가 렌터카와 같은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의 규제를 받아 극장, 영화관, 음식점 등 2종 근린생활시설의 주차장만 사용할 수 있다. 도심에는 그 수가 많지만 주택가에는 한정적일 수밖에 없다.

 

 통상적으로 카셰어링이 가장 필요한 대중교통 불편지역의 경우 2종 근린생활시설의 수가 더 적다. 이로 인해 카쉐어링 주차장이 도심지역에 몰리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주택가에서 일반인들이 쉽게 사용케 한다는 카셰어링의 취지가 무색해지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집카', 일본의 '오릭스' 등 대부분의 해외 기업은 주택가 주차장을 이용하고 있다"며 "국내에서는 서울시 등 공공기관에서 카셰어링 사업을 전개하면서 공영주차장을 사용할 수 있게 지원해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대여 주차장의 절반 정도가 공영주차장"이라며 "지방의 주택만 밀집된 지역의 경우는 대여 주차장을 만들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김남이 기자

출처-머니투데이

 

 


<본 기사의 저작권은 머니투데이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