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 곳이 아직도 있소? 거짓말 아니오?'라고 하는 분들이 있겠지만, 전국에 6군데 있습니다. 4곳은 아예 취급을 안 하고 있고, 2곳은 하이패스 전용차로만 달랑 설치돼 있고 일반차로에서는 취급을 안 하고 있습니다.
대구의 범안로와 대전의 천변고속화도로가 골 때리는데, 여기는 하이패스 전용차로만 설치돼 있고, 일반차로에서는 하이패스카드로 요금을 지불할 수 없어서 운전자들에게 불편과 혼란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톨게이트 전방에 있는 간판에 일반차로를 '교통카드/현금'이라 표기해 놨고, 실제로 톨게이트 부스에 가면 '하이패스카드는 안 된다. 현금이나 다른 교통카드로 결제해야 한다.'면서 운전자들에게 불편을 야기하고 시간도 지체됩니다.
톨게이트 시설을 어중간하게 바꿔놓은 유료도로(하이패스 전용차로만 설치돼 있고, 일반차로에서는 하이패스카드 사용 불가)
대구 범안로-서쪽은 범물터널·앞산터널과 직접 연결돼 있고, 북동쪽은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와 직접 연결돼 있음. 신대구부산고속도로(55번)의 수성나들목/동대구나들목과는 간접 연결돼 있음.
대전 천변고속화도로-북쪽에서 17번 국도를 통해 경부고속도로 신탄진나들목과 간접 연결. 공사에 착수한 회덕나들목(대전나들목과 회덕분기점 사이)과는 직접 연결될 예정.
하이패스카드를 아예 사용할 수 없는 유료도로
남산1호터널(서울)-남쪽에서 한남대교를 통해 경부고속도로(1번)와 연결돼 있음
남산3호터널(서울)-남쪽에서 반포대교를 지나 경부고속도로 반포나들목/잠원나들목으로 간접 연결
만월산터널(인천)-북쪽에서 46번 국도를 통해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100번) 송내나들목과 간접 연결, 남쪽에서 42번 국도를 통해 영동고속도로(50번) 서창분기점과 간접 연결
원적산터널(인천)-동쪽에서 길주로를 따라 직진하면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중동나들목과 간접 연결
※ 대전 천변고속화도로는 2018년 11월 15일에 하이패스 전용차로만 달랑 개통하고, 일반차로의 시스템을 바꾸는 것은 뒤로 미뤘음
※ 대구 범안로는, 대구의 교통카드사업자가 수익 감소를 이유로 하이패스카드의 취급을 반대. 범안로 운영사업자는 '일반차로의 시설을 바꿀 계획이 없다. 일반차로에서는 동전(500원, 100원)이나 교통카드를 쓰면 되지 않느냐.'는 소극적인 태도를 고수. 이제는 통행료 징수기한이 얼마 안 남았다며 뒷짐지고 있음.
※ 인천의 2개 유료도로(만월산터널, 원적산터널)는 '경제성이 없다.'는 민자사업자의 주장을 인천시가 받아들여, 하이패스카드를 도입하지 않기로 결정
※ 남산 1·3호터널은 서울특별시 당국이 하이패스카드를 통행료 지불 수단으로 도입하려 했지만, 한국도로공사가 톨게이트에 하이패스차로를 같이 설치하라고 요구. 이 터널은 터널 북단과 톨게이트 사이의 거리가 100m 남짓이라, 하이패스차로를 설치하기 곤란함.
인천 민자터널 하이패스 설치 안 하기로
https://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906143#08hF
인천 문학·만월산·원적산터널 전국 유일 하이패스 없는 이유
https://www.kiho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864825
일반차로에서 하이패스카드를 사용하는 방법
개방식 구간
폐쇄식 구간
대전 천변고속화도로의 톨게이트에 붙여놓은 안내문
대구 범안로의 톨게이트에 붙어있는 안내문
남산1호터널
남산3호터널
만월산터널
원적산터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