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재 신채호선생과 도마 안중근의사가 복역하였으며 일본과 구소련이 중국을 점령하여

중국과 한국등의 애국지사들을 구금하기도 했던 중국 대련시 여순에 위치한 여순감옥.

당시의 피맺힌 절규를 다시 한번 돌아봄으로써 일본의 제국주의적 잔인성을 다시한번

환기하여 독도를 국제적으로 분쟁화하려는 일본의 야욕을 분쇄할 신한국의 정신력을

구축 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여순 형무소 전경. 중국 대련시 여순소재>

 

 <형무소 외부 모습. 각 방마다 창가에 번호가 매겨져있다. 작은 사진은 저장고>

각 방마다 번호가 매겨져 안팎으로 감시할 수 있는 감시체계가 마련되어 있다.

작은 사진은 음식물등을 저장했던 저장고로 굴을 파 냉장고 대용으로 사용하였다. 

 

 <형무소 뒤편 외부 전경. 스산한 분위기마저 드는 이곳에서 과거 순국 선혈들은 산화했으리라>

 

 <수의. 신체검사를 받거나 형무소 입소시 비취되어 있는 수의로 갈아 입게 된다>

여순감옥을 관람할때 처음으로 들르는 곳이 바로 이곳이다. 수의들이 비취되어 있는 이곳.

형을치루기 위해서는 비취된 수의로 갈아 입은 후 신체검사등을 통해 감방에 구금하게 된다.

 

 <형무소 복도 모습. 바닥은 철창으로 아래층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해 놓았다>

형무소 내부는 대부분 사진의 모습을 하고 있다. 1층과 2층으로 분리되어 2층 바닥에 철망을

설치하여 2층에서도 1층의 복도를 감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형무소 복도 모습. 관람 제한구역은 바리케이트로 막아 놓았다>

 

 <형무소 복도 모습. 각 방별로 복역자 번호의 문패가 보인다.>

형무소 1층의 모습. 영화에서나 볼 수 있을 듯한 음산한 분위기가 방문한 사람으로 하여금

당시의 잔혹한 실상을 몸소 느끼게 한다. 각 방마다 구금된 복역자번호의 문패가 있어, 감시

하기 편하게 해놓았다.

 

  <형무소 복도 모습. 감방 문의 우측 하단에 음식을 넣을 수 있는 입구가 보인다>

각 감방의 방문은 나무재질로 되어있으며, 문의 위쪽은 철망으로 되어 있어 안을 훤히 들여다

볼 수 있도록 되어있다.

감옥 내에 화장실은 없으며, 나무로 된 양동이가 화장실 역할을 대신 한다.

각 방문 우측하단에 작은 구멍이 있는데 이곳은 음식이나 기타 물품을 들이던 구멍이다.

 

 <복역자들의 인식표와 타고남은 재>

좌측은 복역자들의 신분 확인을 위한 인식표이다. 우측은 복역하던 복역자들을 투항하기

전에 태워버리고 남은 재다. 복역시 사망한 복역자들을 화장하여 처리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감방의 복역자번호 문패>

 각 감방의 좌측상단에 붙혀 있는 복역자들의 번호표이다.

 

 <감방 내부의 모습. 짚신과 변기가 놓여 있다>

감방 내부의 모습이다. 내부에는 화장실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기때문에 나무로 제작된

양동이가 변기 역할을 대신 한다.

 

  <신채호 선생의 약력과 사진>

 

 <신채호 선생의 조선혁명선언문>

 

사진은 복역할 당시의 단재 신채호선생과 조선혁명선언서 전문이다.

 

형무소 안 신채호 선생이 투옥돼었던 감옥 앞에 걸려있는 신채호선생의 사진.

선생의 가슴에 뚜렷한 글씨로 "신채호"라고 적혀있다.

중국인들도 신채호선생의 역사학자로서의 업적을 추앙하듯 그의 프로필에

"저명한 역사학자"라는 글귀로 그를 소개하고 있다.

 

다음은 사진상의 신채호선생 프로필.

 

신채호선생(1880-1936) 조선 충청남도인, 저명한 역사학자, 문학자

1923년 조선혁명선언, 무장 항일 투쟁전개

1928년 5월 대만에서 경찰에 체포됨.

1930년 4월 10년형 선고 받음.

1936년 2월 21일 여순감옥에서 병사.

 

 <감방에 감금된 사람들의 식기>

당시 감방에서 사용되던 식기이다. 7개의 식기가 보이는데 의미는 복역자의 죄질에 따라 식기의 

크기를 달리 한 것이다. 1번 식기는 죄질이 가벼운 복역자의 식기이다.

 

 <감옥을 지키는 교도관의 집무실>

형무소의 내부에 위치한 교도관의 집무실이다. 당시의 생활수준에 비교한다면 전화기와

선풍기까지 비취되어 있는 꽤 품격있는 모습이다.

 

  <암실설명. 암실을 볼 수 있는 작은 구멍>

암실은 특별한 복역자를 엄하게 다스리기 위해 제작되어 있는 독방이다. 감방의 내부는 1평도

되지 않는 좁은 공간이며, 사진은 전시를 위해 불을 켜놓았지만,복역시에는 아무것도보이지

않는 암실이다. 내부와 외부로 통하는 곳은 사진 하단의 테니스공 크기의 작은 구멍뿐이며,

이곳 여순형무소에는 4개의 독방이 설치되어있다.

 

  <암실로 들어 가는 작은 문. 암실로 들어가는 유일한 문>

암실로 들어가는 입구. 다소 커보이지만 숙여야 겨우 들어 갈 수 있는 작은 문이다.

 

  <암실 독방 내부 모습>

독방의 외부의 테니스공크기의 작은 구멍을 통해 들여다 본 독방 내부의 모습이다.

독방 내부에는 변을 볼 수있는 "변통"과 "밥통", 우측 중간 밖으로 나갈 수 있는 입구가 조그맣

게 눈에 띈다. 복역 중에는 어떠한 불빛도 볼 수 없다. 독방내부의 구조를 보아 당시의 참혹했던 

현실을 엿 볼 수 있다.

 

  <시체실>

사진은 복역중 사망한 시체를 보관하던 시체실이다. 현재 내부는 아무것도 없는 빈방이지만,

당시에는 많은 시체들이 바닥에 뒤엉켜있었을 것이다. 사진 중간에 시체실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작은 창문이 보인다.

 

  <증언>


1937년 6월 일본인에 의해 공산당에서 근무한다는 죄목으로 잡혀들어갔다. 형무소 입소 후 죄가

없다는 나의 말에 구타와 휴식을 반복하며 육체적 정신적인 고통을 주었다.

한달 중 보름은 구타에 시달려야했고 보름은 쉬는 날이 었지만, 쉬는 날에도 다음 날 구타에 대한

불안감으로 편안히 쉴 수 없었다. 더 참을 수 없는 것은 일본인들이 나에게 이런 식의 고문을 행

한 이유는 "심심하다"는 이유로 화풀이 대상으로 나를 구타하였다는 것이다.

 

 <고문도구>

 

 <고문형틀>

형틀에서 고문을 받고 후유증을 호소하던 중국인이 고문방법을 증언한 사진이다.

호스를 수감자 입에 연결한 다음 몸속으로 집어넣은 후 커다란 몽둥이나 기타 커다란 나무기둥

등을 사용해 배를 짓누르면 눈, 코, 입, 항문을 통해 몸속의 수분이 빠져나온다. 또 한 손톱과

발톱사이에 날카로운 나무조각을 박아넣는 잔인한 고문도 행해졌다.

 

 <고문도구>

다양한 고문도구들이 눈길을 끈다. 발목이나 손목에 걸었던 쇠사슬 고리들이 당시의 복역자의

피와 절규를 머금은 채 고스란히 놓여 있다.

 

 <교도관이 착용하던 모자와 옷>

 

  <의무실과 사용하던 의약품과 화학약품>

 

 <의무실에서 사용하던 현미경, 주사 약품>

 

  <교수형장 전경>

 

여순형무소에 있는 교수형장 중의 하나이다. 구소련이 사용하던 교수형장은 형무소 내부에 위치

되어 있다. 우측하단의 작은 사진은 교수형장으로 통하는 길로 교수형을 위해서는 이 길을 거쳐

야 했다. 이 길로 끌려 가며, 조국을 울부짖었을 선혈들의 목소리가 귓가에 선하다. 

 

 <교수형장 내부 도르레>

 

  <교수형장의 모습>

교수형장 내부의 모습으로 상단은 도르레와 목을 걸기 위한 밧줄 매듭이다.

바닥에는 교수형장에서 볼 수 있는 작은 구멍이 보이며 형을 당하는 복역자는 작은 구멍 속으로

생을 마감하게 된다. 형장의 하단에는 사람이 들어 갈 수 있는 원통이 보이는데 매달린 시신은

사망 후 통속으로 들어가 매장된다. 형 집행후 사망여부를 확인한다음 사망하지 않았을 경우

에는 독극물을 투여하여 살해한다.

특히 당시 일본군은 총탄이 아깝다는 이유로 중국인들에게는 교수형이나 칼로 살해 했다고 한다.

 

 <교수형으로 살해 된 사람의 모습>

"이것은 1949년 감옥의 동쪽언덕에 있는 묘지로에서 발견된것으로 교수형으로 살해되어 통속에 보존되어 있던 인골의 모습이다."

 

공동묘지에서 발견된 시신의 모습으로 매우 참혹한 모습. 교수형으로 살해된 후 그림과 같은

통에 넣어 매장되었다. 그 이유는 일본군 앞에 무릎을 꿇지 않는 한국인과 중국인들로 하여금

죽어서까지 무릎 꿇게 하기 위함이었다.

 

 <교수형을 받기 위해 대기하던 대기실>

교수형을 받기 위해 대기하던 대기실이다. 불빛조차 없는 독방형 대기실에서 울부짖으며,

조국을 절실히 그리워 한 선혈들의 모습이 눈에 선하다. 그들은 이곳에서 형을 기다리며

무슨 생각을 하였을까?

 

 <죄수들이 일하던 인쇄기>

 

 <교도관이 사용하던 고문도구 채찍등>

 

 <죄수 이송시 머리에 씌우던 도구>

 

  <안중근의사를 구금했던 방에 대한 설명.조선애국지사 안중근을 구금했던 감방>

안중근(1879-1910)은 조선 황해도 해주부 사람이다. 1907년 조선의병운동에 가담하여 참모

중장을 담당하였으며 1909년 "대한독립동맹" 조직에 참여하였다. 동년 10월 26일 그는 중국

의 하얼빈역에서 일본제국주의 중심인물로 조선 초대통감을 지낸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였다.

체포된 후 11월 3일 여순감옥으로 압송되었으며 일본의 "국사범"으로 분류되어 간수보장

당직실 옆에 있는 이 감방에 단독으로 구급되었다. 1910년 3월 26일 오전 10시에 안중근은

감옥 교수형장에서 순국하였으며 그때 나이 32세였다.

 

  <안중근의사의 친필>

카메라가 부착되어 다소 조화롭지 못한 분위기의 감방 내부. 감방의 내부 벽에는 안중근

의사의 친필 두 점이 걸려 있다. 

一日不讀書 口中生荊棘(일일부독서 구중생형극)"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돋는다

"國家安危 勞心焦思(국가안위 노심초사)"

나라의 안위를 걱정하면 애가 끓는다.

 

 <안중근의사가 사용하던 변기>

 

  <안중근의사가 사용하던 책상과 의자 및 사무도구>

깔끔하게 정돈되어 있는 안중근의사의 유품들. 혼이 깃들어있는 사무용품에서 안중근의사의

희생정신을 다시한번 상기해본다. 

 

 <좌측 안중근의사를 구금했던 감방. 우측은 교도관이 머물었던 당직실>

안중근의사는 이토 히로부미를 살해한 죄로 일본의 주요 국사법으로 분류되어 개별적으로

간수보장들의 당직실 옆 독방에 구금되었다.

 

 <안중근의사가 교수형 당한 장소>

 

 <시신들을 버리던 문 I>

일본에 대항하여 교수형에 의해 살해된 시신이 들어있는 통은 사진의 문을 통해 동산묘지로

매장된다.

 

 <시신들을 버리던 문 II>

 

 <교수형한 시체들을 묻었던 동산 묘지에서 발굴한 실제 시신들의 모습>

 

형무소 묘지의 위치는 형무소 담장 뒷동산에 자리잡고 있다.발견된 시신의 통의 수는 수백미터

에 달했다. 당시 감옥에 수감되었던 항일운동가들이 일본군에게 살해된 후 감옥 동산 묘지에 매

장되었다. 많은 시간이 흘렀고, 얼마나 많은 열사들이 황야에 묻혔는지 그 수를 헤아릴 수 없다.

여기에 있는 시신의 통은 1971년 형무소 안으로 들여와 이식 복원되었다.

 

  <실제무덤에서 발견된 시신들>

교수형 후 살해된 시신들을 무더기로 묻었던 장소가 발견되어 충격을 더해주고 있다.

이곳은 실제 발견될 당시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안중근의사의 유해도 이곳 어딘가에 안장되어 있을까?

 

 <당시 전쟁시 구소련군에 의해 사용되었던 폭약과 어뢰>

 

 

 <배에서 사용하던 닻과 자동차>

 

 <발견된 시체와 염산병>

교수형 후 나무통속에서 발견된 시신의 모습으로 사진 하단에는 염산병이 보인다.

죽어서까지 일본에 무릎을 꿇도록 강요하였으며, 무릎이 굽혀지지 않은 시신에는 염산을

뿌려 시신의 관절을 녹인 후 무릎을 꿇도록 한 모습에 경악을 금할 수 없다.

 

 <감옥을 감시하던 감시탑>

 

일본은 과거에 대한 반성으로 화해무드를 조성하고 있는 독일을 거울삼아 하루빨리 제국주의의

망령에서 벗어나 과거를 뉘우치고 반성하여 화해의 관계로 돌아서는 성의를 보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