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계: 전쟁 발발 2006년 4월20일 오후 일본 독도 해역 탐사 강행 일본 탐사선 밀어내기 도중 한대 격침 일본 해경과 한국 해경 교전- 일본 자위대 구축함과 한국 구축함 출동,대치 2006년 4월 22일 오전 일본 자위대 특수부대 독도 습격 오후 일본 자위대 독도 강탈 2006년 4월 23일 대한민국, 일본에 선전포고 양국, 전시 체제 돌입. 유가 폭등, 물가 폭등 *2단계 전쟁 전개(객관적 전력에 따른 전개) 2006년 4월 23일 오후 대한민국 공군과 일본 자위대 공군 공중전 대한민국, 조종사들의 실력 우세로 공중전 승리 그러나 일본측 이지스 함대의 지원으로 큰 피해 대한민국 동해 1함대와 일본 해상자위대 이지스 전단 교전, 동해 함대 궤멸 일본 이지스 함대 반파 2006년 4월 23일 밤 대한민국 해군 진해 함대와 대구에서 출격한 공군기, 일 해상자위대와 대마도 근처에서 교전. 진해 함대 궤멸. 2006년 4월 24일 오전 북한 김정일, 대포동 만지작거리며 일본에 경고 "깝치지마" . 서해 2함대 남해 도착, 청주 공군 주력 일부 대구 공군기지로 이동. 대한민국 장보고급 잠수함, 독도 부근서 일본 이지스함 격침 (장보고급- 유엔 합동훈련에서 미국 항모,전함 포함해 20여척 을 격침시킨 잠수함으로, 한국 잠수함 승조원들의 실력은 세계 최고임을 반증) 동시에 쓰시마 섬 부근에서 일본 이지스 함대 한국 잠수함에 큰 타격 입고 회항. 2006년 4월 25일 오전 일본 자위대 특수부대 동해, 거제에 동시 상륙하였으나 발각. 오후 일본 자위대 특수부대 전멸. 2006년 4월 26일 오전 북파간첩, 수중폭파부대, UDT 등으로 이루어진 대한민국 특수부대 일본 본토 상륙. 대도시 근처의 주요 비행장 및 항구, 군사시설 폭파 시작 2006년 4월 26일 오후 일본에 반전여론 심화 2006년 4월 26일 밤 일본 동쪽에 위치한 요코하마 근처 항구에 정박해 있던 이지스함, 한국 잠수함의 잠입 공격에 의해 격침. 일본, 사실상 대한민국 해상 봉쇄 작전 실패 -지금까지 대한민국 해군 전력 78% 소모, 일본 해상자위대 전력 52% 소모 대한민국 공군 전력 86% 소모, 일본 공중자위대 전력 78% 소모 대한민국 육군 전력 0% 소모, 일본 육상자위대 전력 3% 소모 2006년 4월 27일 오전 대한민국 육,해,공군 대규모 상륙 작전 "불나방"준비 일본, 정전 협상 시도..대한민국 거절 2006년 4월 말~6월중순까지 전쟁 교착 상태, 일본, 미국과 무기거래 한국 주전론 우세, 일본 반전론 우세 2006년 6월 18일 초특급 태풍 "백호" 일본 남서쪽 해상에 상륙 2006년 6월 18일 오후 대한민국, 대규모 상륙 작전 "불나방" 실행 독도급 수송선(대형), 상륙함 등 모든 함정에 육군,해병대,특전사 정예 12만명과 K!A!전차 등 장비 싣고 출발 대한민국 모든 해군,공군 잔여병력 호위에 올인. 일본, 상륙 저지에 전력, 그러나 태풍과 대한민국 잠수함들의 공격으로 위력 발휘 못함. 2006년 6월 19일 밤 대한민국 상륙부대, 전력의 75% 유지하고 시모노세기에 상륙. 장보고급 잠수함, 일본 동해안 공격 2006년 6월 21일 오후 대한민국 육군, 히로시마 장악. 일본 시민들 북쪽으로 피난 6월 23일 오전 대한민국 육군, 교토,오사카 고베 장악 6월 25일 오후 대한민국 상륙군 제 2군 나가사키에 상륙 6월 27일 오전 대한민국 상륙군 나고야까지 진격 6월 28일 오후 일본 전역에 대한민국 특수부대 투입, 교란 6월 30일 오전 대한민국 상륙군 제 2군 가고시마까지 진격 오후 대한민국 상륙군 제 1군 동경 임박 *3단계 종 전 2006년 7월 1일 오전 아베 신조 장관 자결 2006년 7월 2일 오전 일본 대한민국에 항복 2006년 7월 10일 오후 정전 협상 타결 -일본, 독도 반환 -일본, 대마도 대한민국에 할양 -일본, 대한민국에 전쟁 보상금 납부 2006년 7월 11일 오전 고이즈미 일본 총리 물러남. 2006년 7월 11일 오후 북한 김정일, "잘했수다" 2006년 7월 12일 오후 미국 부시, “우린 무기팔아서 행복해요“ 2006년 7월 13일 오후 노무현 대통령, “니네껀 안살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