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불과 며칠전에 최현함의 진수식 소식을 전해드렸는데, 오늘은 사격시험 소식을 전해드리러 왔습니다.

저도 소식 듣고 깜짝 놀랐는데요. 지난 4월 25일 진수식을 했는데 사흘만(28~29일)에 무장 실사격 시험을 했기 때문입니다.

 

통상 군함을 건조할 땐, 진수식 후 외장공사를 마무리 하고 지상에 정박한 상태로 성능시험을 한 뒤, 이상이 없으면 비로소 출항해 항해성능시험을 하게 됩니다. 무장시험은 가장 마지막 단계로 여기까지 마쳐야 해군에 배가 인도됩니다. 

그리고 이 과정은 상당히 지리한데, 함의 성능이 설계한대로 나오는지, 이상은 없는지 하나하나 확인하며 매우 조심스럽게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시간도 오래걸리고, 초도함이거나 새로운 기술이 많이 들어갈 수록 이 기간은 더욱 길어집니다.

참고로 최현함과 비슷한 크기인 충무공이순신함의 경우 진수식부터 해군 인도까지 약 1년 반이 걸렸습니다. 

 

그렇다면 결론은 북한이 군함을 엄청 잘만드는 외계인을 납치했거나, 아니면 굉장히 무리를 하고 있다는 건데요.

작년 말에 지상에서 선체조립 중이던 군함이 불과 반 년만에 진수식을 한 것도 놀라운데 여기서 사흘만에 무장시험을 한다는게 상식적이진 않으니까요.

 

어쨌거나저쨌거나,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각종 미사일과 함포 등 실제로 무장 사격시험을 했습니다.

지난번처럼 사진들 보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PYH2025043000620004200_P4.jpg

 

좌측 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순항미사일, 함포, 기만탄 발사기, CIWS 순입니다.

순항미사일은 화살 1형이나 2형과 달리 길이가 좀 짧고 굵어 보이는데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

함포는 북측이 '127mm 함상자동포'라고 발표함에 따라 그 구경이 드러났습니다. 127mm랍니다. 러시아나 중국에선 사용하지 않는 구경이며 북한 역시 처음 도입한 구경입니다.

기만탄 발사기는 구경이나 모델명은 알 수 없으나 다른 사진을 통해 40연장인 것이 확인됩니다.

CIWS는 지난번에 말씀드린 것과 같이 AK230의 기관포를 AK630처럼 6연장 개틀링으로 교체한 북한 독자모델입니다.

 

PYH2025043000540004200_P4.jpg

 

함수 VLS를 통해 발사되는 미사일입니다. 솟아오르는 위치상 함수의 소형 VLS에서 쏘아진 것으로 보입니다. 

미사일의 정확한 명칭은 알 수 없으나 그 외형은 지난 2021년경 처음 공개됐던 '별찌-1-2' 대공미사일과 흡사합니다.

 

스크린샷 2025-04-30 174143.png

 

이 사진은 지난 2023년 진행된 '무장장비전시회' 홍보영상을 캡쳐한 것으로, 이 미사일과 이번에 발사시험한 미사일의 실루엣이 매우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거리 등 미사일의 구체적인 성능은 공개된 바 없습니다.

 

PYH2025043000570004200_P4.jpg

 

첫 사진에서 봤던 순항미사일로, 연돌 뒤 대형 혹은 중형 VLS에서 쏘아진 것으로 보입니다. 옆으로 날아가는 불꽃 하나는 발사관을 빠져나올 때 사용되는 사출모터입니다. 

확실히 화살 1,2형과는 다소 다르게 생겼습니다. 

뭔가 짧고 굵은 느낌? SLCM(잠수함발사순항미사일)인 불화살 시리즈일 수도 있어보입니다.

 

PYH2025043000580004200_P4.jpg

 

사실 우려되는 사진은 이건데요.

위에서 쏘아올린 순항미사일과는 다른 생김새를 지녔습니다.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형상이구요. 문제는 그 형상이 러시아의 지르콘이나 미국, 우리나라가 개발 중인 극초음속 미사일과 유사하다는 겁니다. 실제로 조선중앙통신도 초음속 순항미사일 발사시험을 했다고 발표했구요. 저 미사일의 성능은 아직 베일에 가려져 있긴 하지만, 만약 구축함급에서 초음속 순항미사일을 날려대는게 현실화됐다면 우리나라 킬체인을 재고해봐야 하는 중요한 사항입니다.


PYH2025043000660004200_P4.jpg

 

역시 초음속 순항미사일로 보이는 발사체의 모습이구요. 위치상 연돌 뒤 중형VLS에서 쏘아진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최현함에는 소형, 중형, 대형, 초대형 총 4종의 VLS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중 소형이 MK41 정도의 크기입니다.

 

PYH2025043000610004200_P4.jpg


여기까지 봤을 때 뭔가 이상한 점이 하나 있는데, 장거리 순항미사일을 포함한 무장실사격 시험인데 무려 연안에서 하고 있다는 겁니다. 아니, 저 정도면 연안 정도가 아니라 남포항 바로 앞, 대동강 하류에서 사격을 한 겁니다. 

실제로도 남포항 시설물이 그대로 보이기도 하구요. 아직 추진체계가 불완전한 걸까요. 

연달아 두 발을 쏘고 있죠. 이 정도면 사격시험이 아니라 화력시범 수준입니다.

그나저나 합참은 왜 아무말도 안했던 걸까요. 저렇게 많이 쐈는데.. 

 

PYH2025043000630004200_P4.jpg

 

이건 최현함의 전자장비가 잘 보이는 사진이라 가져와봤습니다.

마스트 상단에서부터 모델명을 알 수 없는 항법레이더 2기와 압록급에 달린 것과 같아보이는 레이더(대수상 및 2차원 대공)가 확인되며, 위상배열안테나와 그 사이 EOTS로 보이는 장비도 보입니다. 위상배열안테나 구조물 위와 김정은 옆에 보이는 상자형 구조물은 사통레이더일테구요.  확실히 크기가 작습니다. 

 

정리하면,

사실 VIP가 오는 진수식에서 군함의 정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건 동서양을 막론하고 흔히 볼 수 있는지라 딱히 별 생각은 없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마찬가지니까요. 진수식 끝나고 다시 작업 중인 상태로 돌아가는 배를 보면, 이럴거면 뭣하러 진수식 하나 싶기도 할 정도?

그런데 북한은 진수식을 무슨 취역식 정도로 생각했던 걸까요. 사흘만에 사격시험은 솔직히 상상도 못했습니다. 정상적으로 가동은 하는건지 의구심이 들기까지 합니다. 

뭐, 망하면 우리야 좋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