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술 데이터 링크(TDL. Tactical Data Link)개념
과거에는.전황 정보를 공유 하는데 주로 음성통신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작전을 수행하는데 정확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적지 않은 제한을 가져왔다.
현대에는,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군사용에 적합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용 도로(채널)가 개발 되었고,
이를 전술 데이터 링크(TDL. Tactical Data Link)라고 한다.
■ 전술 데이터 링크(TDL) 구성
크게 HW 와 SW로 구성된다.
HW) 전술 데이터를 주거나 받기위한 통신용 단말기(모뎀)
SW) 단말기 운용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 예를들면,
컴퓨터(HW) 동작에 필요한 윈도우즈11과 유사한 개념.
■ LINK-16은?
미국, 유럽, NATO의 전술 데이터 통신 표준안
(LINK-11, LINK-16, LINK-22 등)중 하나이다.
■ LINK-16미국 유럽의 공동개발
1970년대 중반 미국이 개발 하였고,
1990년대 미국과 유럽 4개국(프, 이탈, 독, 스페)은
NATO 회원국이 LINK-16을 사용할 수 있도록 단말기 외부에
추가로 부착하는 단말기를 공동개발 하였으며,
NATO 회원국은 독자적으로 LINK-16을 사용한다.
공동개발시 LINK-16의 일부분만 미국이 허용 하였는데,
이는 전술 데이터 링크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에 대한
간접적인 증거라 할 수 있다.
■ LINK-16과 국내 현황
대한민국 공군 전투기의 LINK-16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미국 태평양 사령부 산하의 미군 연동 통제소에서 매일 발급하는
암호 키를 받아야 LINK-16을 사용할 수 있다.
만일 암호키가 없다면, F-35A, F-15K, F-16, FA-50은 눈뜬 장님!!!
■ LINK-K
한국형 LINK-16이며성능은 동급 이라고 합니다.
총 개발비가 대략 5,000억원 소요 되었음.
상황에 따라 독자적인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듯이
확보해야 하는 중요 기술입니다.
전술 데이터 링크를 독자개발한 나라 … 미국, 중국, 러시아 정도?
KF-21에 장착 예정이며, 수리온(KUH) 과 미르온(LAH)에 장착
되었다고 하는데, 정확한 정보 아시는 분은 댓글 부탁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