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플한국공군 자체는 JASSM을 염두에 두고 있었고, 타우러스는 협상도구로써 끼워놓은거 였지
처음부터 염두의 대상이 아니였습니다.
문제는 한국공군이 JASSM 판매 의뢰 했을때는 JASSM 자체가 완성 된 상태가 아니였다는거죠.
JASSM 자체도 개발에 난관연속 이였던지라, 개발기간이 늘어지고, 늘어진 만큼 단가도 팍 올랐다는거죠.
그리고 그당시에 JASSM은 형상 문제로 F-15에 한발만 장착 가능한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 되었습니다.
최종적으로는 타우러스측에서 파격적인 가격제안 여기에 공군의 후려치기가 통하면서,
단가면에서 JASSM이 우위를 취하지 못하게 됩니다...어차피 JASSM도 개발지연으로 단가가 계속 오르고
있는 상황이라 단가면에서 매리트가 없어져 버리게 됩니다.
덕분에 타우러스 도입으로 지하관통탄,지형대조항법 등 기술이전을 대폭 받아 현재 장공지 개발의 초석이
되고 있습니다.
요약하면 도입방침을 정한 시기에는 JASSM을 도입 할수 없었다 입니다.
그리고 FA-50에 탑재가능한 천룡 축소형이 개발 중이라, 개발완료가 되면
굳이 JASSM 도입을 할 필요가 더욱더 없어져 버립니다.
여기에 타우러스측에서 천룡 축소형에 개발 참여를 지속적으로 요청 끝에 LIG와 업무협약을
맺은 상태 입니다.
한국공군 자체는 JASSM을 염두에 두고 있었고, 타우러스는 협상도구로써 끼워놓은거 였지
처음부터 염두의 대상이 아니였습니다.
문제는 한국공군이 JASSM 판매 의뢰 했을때는 JASSM 자체가 완성 된 상태가 아니였다는거죠.
JASSM 자체도 개발에 난관연속 이였던지라, 개발기간이 늘어지고, 늘어진 만큼 단가도 팍 올랐다는거죠.
그리고 그당시에 JASSM은 형상 문제로 F-15에 한발만 장착 가능한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 되었습니다.
최종적으로는 타우러스측에서 파격적인 가격제안 여기에 공군의 후려치기가 통하면서,
단가면에서 JASSM이 우위를 취하지 못하게 됩니다...어차피 JASSM도 개발지연으로 단가가 계속 오르고
있는 상황이라 단가면에서 매리트가 없어져 버리게 됩니다.
덕분에 타우러스 도입으로 지하관통탄,지형대조항법 등 기술이전을 대폭 받아 현재 장공지 개발의 초석이
되고 있습니다.
요약하면 도입방침을 정한 시기에는 JASSM을 도입 할수 없었다 입니다.
그리고 FA-50에 탑재가능한 천룡 축소형이 개발 중이라, 개발완료가 되면
굳이 JASSM 도입을 할 필요가 더욱더 없어져 버립니다.
여기에 타우러스측에서 천룡 축소형에 개발 참여를 지속적으로 요청 끝에 LIG와 업무협약을
맺은 상태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