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에너지 정책과 달러결제 시장 방어를 위한 수작에 러시아가 바보같이 덥썩 물어 버린겁니다. 

최우선 타겟은 러시아가 아니라 EU였고, 그 속내는 유로화와 위환화의 밀윌 관계 때문 이였습니다.  애초 EU분열을 영국을 통해 시도 하였으나 결과가 시원 찮아 유명무실해져가던 나토가지고 다시한번 판을 짠건데 나토동진은  말안듯는 에너지 수출국의 대표 주자인  러시아를 꿰어 내어 EU와 중국 러시아를 한방에 보내버릴 미국의 전세계적 언론 플레이 였습니다. 에초  우크라이나는 나토가 아니라 EU시장의 일원이 되는것이 목표였습니다. 당시 독일을 통해 EU시장과 점점 가까워진 러시아의 에너지자원과 원자재들 그리고 확대대는 유로화와 위환화 결제시장과 중국의 성정동력은 전세계 불황과 외환위기를 커바할정도로 막강 한 힘을 발휘 했습니다. 이때 달러시장에 의구심을 느낀 EU와 중국은 신에너지 정책으로 발빠르게 전환 함과 동시에 탈 달러 결제시장을 확대 합니다.  이를 못마땅하게 느낀 미국은 EU에 편입하려던 러시아를 각종수단을 동원하여 죄절 시키고 껍때기만 남은 나토를 활용하여 EU=NATO프레임을 씌워  EU와 러시아를 이간질 시킴과 동시에 방위비 문제를 들먹이며 나토 재무장을 촉구하며 유럽에 발을 빼는 제스춰와 동시에 여러사건으로 삐진 푸틴을 자극하여 크림반도를 시작으로 우크라이나에 일을 벌이도록 유도한 것입니다.  타겟은 EU와 중국으로 이둘의 협력은 탈 달러결제시장 그리고 에너지시장(태양광과 베터리산업)의 주도권을 위협할 조합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러시아는 아무런 생각없이 본인들 욕심에 미국의 의도를 파악 못하고 일을 벌린겁니다. 애초 이 떡밥을 안물었다면 아니 크림반도로 멈추기만 했어도 나토 재무장은 없었을 것이고 나토또한 유명무실해지고 미국의 리더쉽은 점점 힘을 잃고 러시아는 EU와 중국을 통해 한동한 잘먹고 잘살았을 텐데 ㅉㅉ. 미국과 중국을 살려준건 러시아 입니다. 러시아가 그떡밥을 안 물었으면 다음 떡밥은 중국을 노렸을 겁니다.

 다떠나 미국은 달러와 에너지를 위해서라만 동맹의 피해를 강요하는건 예사고 아예 적으로 돌렸던 적도 있을 만큼 진심인 나라 입니다.

 예전에는 이란과 이스라엘이 있었고 최근엔 영국과 러시아 그리고 대만은 미국의 가치를 위협하는 상대를 상대할 장기말일 뿐입니다. 까고 보면 참 아니꼽고 드러운 현실이나 그래도 미국의 우방으로 있는 우리가 다행인거고 장기말로 쓰이더라도 최대한 우리의 이익은 우리가 보전을 해야 하는거고 그나마 미국이란 나라가 그나마 시스템적으로 폭주할 가능성이 없는 강대국이고 그나마 동맹으로서 믿을만한 나라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