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거리 노선과 어마어마한 광궤로 상당한 수송능력을 자랑하는 러시아 철도.

 

그러나 잘 알려지지 않은 협궤 역시 상당히 많이 운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과거 우리나라의 수인선을 기억하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762미리미터의 궤간이었죠?

 

상기 러시아 협궤는 협궤로서는 적지 않은 길이의 노선인 250킬로미터.

 

그리고 과거 수인선보다 좁은 750미리미터의 궤간.

 

이 구간을 무려 7시간을 운행한다고 합니다.

 

시베리아 습지에 위치한 광활한 알라파예프스크 철도.

 

우리의 수인선이 협궤라는 구조 특성상 최고 속도가

 

얼마였는지 기억하시는 분들은 250킬로미터라는 구간이 어느 정도로

 

협궤에겐 힘든 거리일지 짐작하실 것입니다.

 

인도 다르질링의 궤간 600미리미터의 협궤도 7~8시간을 운행하니까요.

 

 

이렇게 침대차로 변신이 가능한 객차구조라고 하니,

 

일단 놀랍고 실제 운행 소요시간이 만만치 않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인구밀도가 워낙 적지만 도로를 놓을 수 없는 습지이다보니,

 

적은 여객 수요를 저렇게 1~2량의 객차로 해결을 했던 것 같습니다.

 

유일한 교통로로 사용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레일바이크도

 

사용을 하는 현실이라고 하여 여객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원래 목적은 자원수송용도였던 것이지요.

 

과거 우리의 수인선보다 약간 좁은 750미리미터 궤간 철도를 위해

 

아직도 이렇게 신조차량을 공급하는 회사도 있다고 합니다.

 

견인차량 그러니까 기관차라는 것이 저렇게 예쁘게 생산되고 있네요.

 

세계문화유산이 된 인도 다르질링 토이트레인은 작지만 스위치백으로도

 

유명하지요.

 

그리고 대만의 아리산 삼림철도도 유사하게 관광여객용으로 쓰이고 있고,

 

한국의 수인선을 단지 효율성때문에 폐선을 시킨 것은 어쩌면

 

수익성과 행정편의가 선택한 지나친 결정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대기업에 사철 운영 방법으로 매각하였어도 아직도 명물로 운행될 수 있지 않을까.

 

러시아처럼 노선을 위해 차량도 신조로 공급을 하는데...

 

아쉽습니다.

 

잘 알려지지 않은 의외의 러시아 협궤를 소개해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