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속 지역 개편으로 활동 범위 넓어져
 -신차 배정에 앞서 정상화가 우선

 

 르노삼성자동차가 소속 지역 본부를 바꾸면서 새로운 도전을 준비 중이다. 급변하는 시장 상황과 부산공장의 생존 확률을 계산한 르노그룹의 해답이었지만 해결해야 할 숙제도 적지 않다.

 


 

 20일 르노삼성차는 르노그룹 내 6개의 글로벌 지역 본부 중 현재 속해있는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벗어나 4월부터 '아프리카-중동-인도-태평양'으로 소속이 변경된다고 공식 발표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본부는 한국과 일본, 호주, 동남아 및 남태평양 지역이 포함된다. 이들 지역은 아프리카-중동-인도 본부와 통합해 아프리카-중동-인도-태평양 지역 본부로 재편했다. 중국은 시장 규모와 빠르게 성장하는 상황을 고려해 별도 본부를 신설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조직 통합을 두고 르노그룹이 르노삼성차에 대한 희망의 끈을 놓지 않은 것으로 풀이했다. 닛산 로그 후속 물량 배정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조직 개편으로 르노 물량 배정 가능성을 높여 놓았다는 것. 르노삼성차 관계자는 "르노그룹 수출 노하우를 활용해 수출 지역 다변화 및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아프리카와 인도 지역은 성장 가능성이 높고 한국차에 대한 인식이 좋아 부산공장의 장점이 더욱 부각될 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용인에 위치한 르노테크놀로지코리아도 르노그룹에서는 포기할 수 없는 주요 역할이어서 그룹 내 핵심 연구개발기지로서 확대가 예상된다.

 


 

 소속 지역 본부 변경으로 르노그룹이 르노삼성차 부산공장에 신차를 배정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닛산이 떠나는 빈 자리를 르노 제품으로 채우고, 이들이 아프리카와 인도 등에 수출되는 방안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런 시나리오가 현실화되려면 기본적으로 부산공장이 원활히 돌아가고 있다는 점을 르노그룹이 인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부산공장이 최악의 상황은 넘겼지만 임단협 난항이 지속될 경우 닛산에 이어 르노 또한 르노삼성차의 지속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해 생산을 오히려 축소할 수 있어서다.

 

 

 따라서 르노삼성차도 조직 개편에 맞춘 르노그룹의 미래 전략을 이해하고 노조를 설득해 빠른 시일 내에 경영 정상화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 하지만 르노삼성 노조는 22일까지 작업 구역별로 지명파업을 벌이고 있어 입단협 타결은 쉽지 않아 보인다.

 

 한편, 르노그룹은 이번 개편에 대해 "세계 자동차 산업의 가파른 변화 속도에 발맞춰 르노그룹이 소비자들의 기대에 민첩하게 부흥하면서 조직 운영의 효율성과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라고 목적을 밝혔다.

 

 

김성환 기자 swkim@autotimes.co.kr

출처-오토타임즈

 

 


<본 기사의 저작권은 오토타임즈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