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클린디젤 정책 폐기, LPG 비중 확대

 

 정부가 클린디젤 정책을 전면 폐기하기로 하면서 국내에도 디젤 아웃의 바람이 거세지고 있다. 이미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 노후경유차의 운행을 제한하거나 공공기관 2부제를 시행하기도 했지만 공공기관 디젤차를 2030년까지 모두 없애고 저공해 경유차 인센티브를 삭제하는 등 보다 강력한 정책이 출현하면서 디젤 퇴출이 본격화되는 분위기다.

 

 특히 디젤 의존도가 절대적인 상용 분야는 노후 제품을 빨리 없애 미세먼지를 줄이려는 정부의 노력이 두드러진다. 환경부에 따르면 수도권 도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99% 이상이 경유차에서 발생하고 이 가운데 화물차는 68%에 육박한다. 대형 화물차의 연간 미세먼지 배출량은 승용차(2.6㎏/대) 대비 60배(155.7㎏/대)에 달한다. 특히 유로4 이하의 오래된 트럭은 현행 유로6보다 최대 146배를 더 내뿜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노후 소형 트럭을 조기 폐차할 때 최고 165만원, 중대형 화물차를 폐차할 때 최고 77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배경이다.

 


 

 그러자 최근 디젤의 대안으로는 LPG가 주목받고 있다. 탄소배출량이 낮고 연소 특성상 엔진오일 등의 교체 주기가 비교적 길어서다. 실제 LPG차는 수송 부문 비중이 확대될 전망이어서 점진적으로 늘어나는 모습이다. 정부가 내년부터 LPG 1t 트럭을 구매하면 400만원을 지급하는 만큼 조기 폐차 지원을 같이 받으면 최고 565만원까지 혜택을 받는다.

 

 정부의 움직임에 따라 완성차 업계도 어느 정도 준비를 마친 분위기다. 현대차는 승용 1.4ℓ, 상용 2.4ℓ LPDi 엔진 기술을 이미 확보해 봉고 LPI를 통해 상용화한 바 있다. 이를 향후 포터, 스타렉스에도 확대할 계획이다. 르노삼성 역시 도넛 탱크를 기반으로 한 제품을 출시했거나 늘릴 계획이며 쌍용차 정비사업소도 LPG 개조 업체와 협업해 가솔린 티볼리에 LPG 시스템을 추가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수송 부문의 에너지 운동장은 서서히 LPG 쪽으로 기울고 있다. 이외에 정부가 신규 디젤차 억제, LPG차 사용 제한 폐지 카드를 내놓으며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이런 흐름이라면 과거 LPG SUV가 인기를 얻었던 것처럼 디젤 중심의 SUV가 LPG로 바뀌는 것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이른바 LPG 시대가 다시 열리는 셈이다.

 

 

구기성 기자 kksstudio@autotimes.co.kr

출처-오토타임즈

 

 


<본 기사의 저작권은 오토타임즈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