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할 것인가 vs 이용할 것인가'


 지난 2016년 자동차 공유기업 리프트를 창업한 존 짐머는 향후 10년 이내에 자동차를 소유하는 시대가 끝날 것이며 그 종착역은 자율주행 시대라고 언급했다. 그의 예언(?)대로 자율주행 기술이 빠르게 진전되면서 사람의 운전이 필요 없는 시대를 향해 가고 있다.


 그런데 인간이 이동 과정에서 운전하지 않는 것은 이용의 편리함일 뿐 자율주행이 자동차 소유욕을 억제할 것인가를 물어본다면 이는 다른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다. 존 짐머는 공유 기업 창업자여서 이동수단을 이용할 때 비용과 편익을 고려했지만 자동차 자체를 소유하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여서다. 같은 자율주행이라도 롤스로이스와 모닝을 각각 소유하는 것은 인간의 소유욕이라는 본능적 측면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얘기다.

 


 이와 관련해 최근 미국자동차딜러협회(NADA)가 지난달 끝난 뉴욕모터쇼를 통해 진행한 설문 결과는 자동차 소유와 이용을 구분 짓는 소비자가 적지 않음을 보여 준 사례로 꼽힌다. 결론부터 언급하면 독점적 공유와 개인 소유 가운데 어떤 것을 더 선호하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89%가 ‘소유’를 원했기 때문이다. 특히 조사에 참여한 대상이 이미 공유 서비스를 많이 이용 중인 20~30대 밀레니얼 세대라는 점을 감안하면 주목할 만한 결과라는 게 협회측의 설명이다. 그러면서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즉시 이동이 가능한 자유는 결코 포기할 수 없는 가치라는 점도 강조했다. 이용 시간과 장소가 제한되는 모빌리티 서비스가 발전해도 개인의 소유욕을 완전 대체하지는 못할 것이란 시각이다.


 공유 경제가 자동차 소유욕을 억제하지 못할 것이란 분석의 배경에는 자동차가 이동 수단이자 또 하나의 공간이라는 점 때문이다. 문화심리학자 김정운 교수는 <남자의 물건>이라는 책에서 남성에게 있어 공간은 정복의 대상이며, 공간이 확보되면 성(城)을 쌓는다고 설명한다. 자동차라는 공간을 지배하면 외형적으로 힘을 과시하게 위해 대형 고급차를 사는 경향을 의미한다. 또한 미국의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는 <심리학의 원리>에서 사람은 자신이 소유한 모든 것을 통해 ‘내가 이런 사람이야’라는 메시지를 드러내려는 욕망이 있다고 말한다. 결국 소유한 물건 자체가 곧 자아를 표현하는 수단이라는 의미다.


 이런 점에서 자동차 공유가 활성화돼도 구매력이 떨어질 가능성은 별로 높지 않다. 다만 이용의 편리함이 발전하면 소유한 자동차를 운행하는 시간이 줄어 보유 기간이 늘어나고, 이는 곧 새 차로 바꾸는 시간이 연장될 수 있다. 공유 경제가 자동차 구매력을 떨어뜨리는 게 아니라 주행거리 축소가 소유 기간을 늘린다는 뜻이다.


 그래서 최근 미국 내 자동차업계에가 주목하는 것은 일정 기간 돈을 내고 여러 차종을 경험할 수 있는 서브 스크립션 서비스다. 서브 스크립션(Subscirption) 서비스는 이용 요금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대부분의 자동차회사가 연간 이용 금액을 내면 여러 차종을 일정 기간 동안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미국 소비자 만족도 조사 회사인 JD파워와 액시옴(Acxiom) 설문에 따르면 글로벌 소비자 가운데 59%가 이른바 약정 서비스에 대해 긍정 반응을 나타냈고, 이 가운데 78%가 1995년 이후 태어난 'Z' 세대였다. 다시 말해 젊은 층일수록 이용과 소유를 동시에 누리려는 욕망이 강하다는 뜻이다.


 그런데 서브 스크립션 서비스의 궁극적 목표도 결국은 소유욕의 자극이다. 소비자는 이용 가치에 초점을 둔 유사 구매 행위지만 자동차회사는 제품 경험을 제공한 뒤 실제 구매로 연결되기를 바라고 있어서다. 결국 어떤 용도로든 자동차를 체험시키는 모든 행위가 결국은 판매 행위의 연장선이라는 뜻이다.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출처-오토타임즈

 

 


<본 기사의 저작권은 오토타임즈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