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가 차세대 능동형 시트벨트인 '액티브 시트벨트(ASB)' 기술 개발을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해당 시스템은 현대자동차 신형 제네시스에 장착됐다.

 

 현대모비스에 따르면 ASB는 충돌이 예측되거나 급회전 등 긴급상황 발생 시 안전띠에 장착된 구동 모터가 사전 작동해 상해를 최소화하는 시스템이다. 위험 발생 이전에 자동차와 연동된 제동(SCC) 및 조향(LDWS) 기능이 반응, 탑승자 안전띠를 강하게 조이고 운전자에게 경고를 보내는 것이 특징이다. 관련 업계 연구결과에 따르면 ASB 적용 시 목 상해는 64%, 기타 부위는 최대 10∼20%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개발한 ASB는 기존 타사제품 대비 부품수가 평균 40% 가량 줄어 중량이 가벼워졌다. 모터에서 발생하는 소음지수도 대폭 감소했다. 이는 기존 제품이 시트벨트를 당겨주는 모터부에 ECU가 각각 한 개씩 장착된 것과 달리 운전석·조수석 ECU를 1개로 통합했기 때문이다. ECU를 통합 설계하면 관련부품 크기와 부품개수가 줄어들 뿐 아니라 전기·전자파로 인한 다른 기기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ECU 장착 위치도 시트벨트 모터부와 달리해 진동으로 인한 오류 발생 가능성도 방지했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회사는 ASB 개발을 위해 지난 2011년 자동차 안전시스템 세계 3대 기업인 타카타와 차세대 안전시스템 부품 개발에 관한 제휴를 맺었다. 공동 개발한 ASB 시스템 중 전자제어장치(ECU) 설계와 생산은 현대모비스가, 모터·기어 등 ECU 외 주요부품 생산은 타카타가 전담했다. 김철수 현대모비스 부품제조사업본부 부사장은 "최근 글로벌 자동차 부품업체들이 ASV(Advanced Safety Vehicle : 안전성 및 편의성을 극대화 시킨 차량) 기술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추세"라며 "섀시 및 전장사업과 안전시스템 사업 전반을 운영하며 규모와 시스템 설계능력을 확보한 기업은 소수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ASB는 2009년 현대차 에쿠스에 최초 적용됐으며, 현재 대형차급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번 ASB 국산화 개발로 품질 및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며, 향후 중소형 차종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오아름 기자 or@autotimes.co.kr

출처-오토타임즈

 

 


<본 기사의 저작권은 오토타임즈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