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와 사내하청노조(비정규직지회)가 비정규직 정규직화 특별협의 파행에 대한 책임론을 서로 제기하고 있다.

 

 현대차는 "사내하청 노조가 원론적인 주장을 되풀이해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특별협의가 중단됐다"고 24일 밝혔다.

 

 회사는 이날 사내 소식지 '함께 가는 길'을 통해 "비정규직지회가 현실성 없는 '조합원 전원 정규직화'를 요구하며 문제해결 의지를 보이지 않아 특별협의가 사실상 중단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울산·전주·아산 비정규직지회가 특별협의에서 단일안을 내놓지 못하는 등 노조 내부 문제로 시간을 허비했다"며 "그러나 이제와서 회사 측에 교섭 중단에 대한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고 강조했다.

 

 사내하청 노조는 앞서 지난 16일 쟁의대책위원회 소식지에서 "회사가 조합원 전원 정규직화를 받아들이지 않고, 신규채용을 고집하고 있어 협의 중단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사내하청 노조는 "정규직 전환 대상자로 '조합원 전원'이라는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했지만 회사가 이를 거부하고, 교섭을 파국으로 몰고 갔다"고 주장했다.

 

 비정규직지회는 오는 25일 자체 교섭단 회의를 열어 특별협의 중단 또는 결렬을 공식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특별협의가 다시 열리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 특별협의를 진행해왔던 금속노조, 현대차 지부(정규직 노조), 비정규직지회 모두 새 집행부 선거를 앞두고 있어 협의 재개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선거를 다음달에 마무리해도 새 집행부가 다시 협상안을 내놓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회사와 노동계 안팎에서 전망하고 있다.

 

 

김근주 기자 canto@yna.co.kr
출처-연합뉴스

 

 

 

<본 기사의 저작권은 연합뉴스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