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속 주차난을 해결할 초소형 접이식 전기차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KAIST는 조천식녹색교통대학원 서인수 교수 연구팀이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접이식 자동차 '아마딜로-T'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가죽이 딱딱한 동물로 적을 만나면 공 모양으로 몸을 둥글게 마는 '아마딜로'와 최초로 자동차의 시대를 연 포드의 '모델 T'의 T를 붙여 '아마딜로-T'라고 명명했다.

 

 아마딜로의 탑승 정원은 2명, 무게는 500㎏이다.

 

 길이는 국내 가장 작은 경차보다도 짧은 2.8m에 불과하다.

 

 주차 모드로 전환하면 차량 뒷부분이 들려 앞유리를 덮개처럼 씌우면서 길이가 1.65m까지 줄어든다.

 

 기존 1대의 주차면적 당 3대까지 주차가 가능하다.

 

 

 최고 속도는 시속 60㎞이다.

 

 13.6kWh(킬로와트시)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해 10분 동안 급속 충전하면 최대 100㎞까지 주행할 수 있다.

 

 연구팀은 차량을 움직이는 동력장치를 차량 안이 아닌 각각의 바퀴에 장착해 내부 공간을 최대한으로 확보했다.

 

 이에 따라 4개의 바퀴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이 가능해지는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또 사이드미러를 없애고 카메라를 통해 좌우측과 후면을 볼 수 있도록 해 사각지대를 최소화했다.

 

 최첨단 컴퓨터 모니터를 통해 남은 배터리의 양 등 각 장치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외부에서 차량을 접는 등 주차 제어가 가능하다.


 
서인수 교수는 "유럽에서는 경차보다 작은 초소형 차량(micro mobility)에 대한 차량 인증 법규를 두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사회적 관심이나 법규 등이 미약한 상황"이라면서 "친환경 에너지 시대, 고령화 사회의 도심형 교통수단으로 주목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KAIST는 '아마딜로-T'와 관련해 13건의 국내외 특허를 출원했으며, 지난 5월에는 국제전기전자공학회 산하 국제전기기계및자동차학회에서 실시한 디자인경진대회에서 2위에 입상하기도 했다.

 

 

박주영 기자 jyoung@yna.co.kr
출처-연합뉴스

 

 

 

<본 기사의 저작권은 연합뉴스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