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위원회(이하 동반위)가 자동차 부분정비업을 중소기업 적합 업종으로 규정하려는 움직임을 나타내자 완성차회사가 신규 소비자들의 애프터서비스 권리를 빼앗는 것이라는 입장을 들어 난색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동반위 주재로 양측의 협의가 있었지만 해묵은 갈등만 재확인했을 뿐 결론은 내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2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동반위는 최근 동네 카센터로 일컬어지는 부분정비업을 중소기업 적합 업종으로 선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자동차회사는 물론 주유소와 타이어, 심지어 외국계 부품기업까지 부분정비업에 속속 뛰어들면서 골목 상권을 위협한다는 부분정비업계의 입장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동차회사는 그렇게 될 경우 소비자들이 보증수리 서비스를 받을 때 불편함이 있고, 이때는 모든 불만이 완성차로 쏟아질 수 있어 신규점 확대 금지에 문제가 있다는 의견을 강력하게 제시했다.

 

 이처럼 완성차회사와 부분정비업계의 갈등은 이미 오래전부터 시작됐다. 자동차회사가 보증수리 불편 해소를 위해 기존 부분정비 사업자를 정비 가맹점으로 흡수, 외형을 확대했던 것. 이를 통해 소비자 편의는 물론 서비스 만족도 향상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 개선도 추구해 왔다. 게다가 부분정비 사업자도 완성차회사의 보증수리를 확보하면 기본 서비스 물량이 보전되는 만큼 개인 간판을 내리고, 완성차회사 협력점을 선택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하지만 갈등은 자동차 서비스 협력점이 늘고, 소비자들이 가맹점을 선호하면서 비롯됐다. 부분정비업계에 따르면 현재 완성차회사 서비스 협력점은 국내 5사 3,600여 곳 외에 보험사, 정유사, 타이어, 부품사 등도 4,000여 곳에 이른다. 한 마디로 부분정비의 절반이 대기업 계열인 셈이다. 게다가 자동차회사가 무상 수리 등을 판촉으로 내걸며 소모품만 교체하는 단순 서비스 물량마저 가져가자 부분정비 업계는 반발해 왔다. 이에 따라 개인사업자로 이뤄진 부분정비 업계도 별도 브랜드를 만들어 직접 소모품 제조, 유통에 나서며 가격 경쟁을 펼쳐왔다.

하지만 완성차를 비롯한 대기업이 막대한 판촉 물량 공세를 이어가자 더 이상 참을 수 없다며 동반위에 중소기업 적합 업종 지정을 촉구하고 나섰다. 

 

 그러나 동반위가 부분정비업을 중소기업 고유 적합 업종으로 지정하려 하자 이번에는 기존 완성차사는 물론 보험사, 정유사, 타이어사의 부분정비 간판을 내건 개인 사업자가 반발 움직임을 나타냈다. 이들 또한 대기업 간판만 달았을 뿐 소규모 개인사업자이기 때문이다. 쉽게 보면 완성차회사가 자동차를 판매한 뒤 사후 보증 서비스를 대행시키는 것이고, 대가로 수리비를 지급해 동반성장 한다는 게 이들의 논리다. 이와 관련, 자동차회사 관계자는 "브랜드를 소유한 곳이 대기업이고, 가맹점은 대부분 개인사업자"라며 "소비자가 보증수리를 받기 위해 지정 협력점을 찾도록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만약 서비스도 하지 말라고 하면 가전제품은 모두 개인이 운영하는 전파사 등에서 수리를 받아야 하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자동차는 안전이 중요한 수단이어서 체계적인 정비 관리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일련의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야말로 기업의 당연한 의무이자 소비자 보호"라고 덧붙였다.

 

 반면 부분정비 사업자는 생각이 다르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부분정비업의 중소기업 적합 업종 미지정은 부분정비 사업자 모두를 고사시키는 것"이라며 "보증수리는 그렇다 해도 최근 소비자들이 일반 수리도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싼 완성차회사 또는 보험사 가맹점을 선호하는 점을 고려하면 더더욱 부분정비 사업자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반박했다.

 

 양측이 한 치의 양보도 없이 대립하자 일부 소비자들은 갈등 해결 시선이 중립적일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자동차동호회연합 이동진 대표는 "현재 부분정비 사업은 대기업, 부분정비연합회, 보험사, 자동차부품사, 타이어회사, 개인사업자 등 다양한 사업 형태가 존재한다"며 "기본적으로 그들 사이의 이해관계가 아니라 해결을 위한 눈높이를 소비자 시각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자동차회사의 서비스 협력점 확대를 막는 것은 소비자 이익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며 "현재도 부분정비 경쟁을 통해 서비스 가격이 쉽게 오르지 않는 것은 분명 장점"이라고 덧붙였다. 다시 말해 보증수리를 위한 서비스 협력점이 더 늘어야 하고, 어떤 형태의 정비서비스를 받을지 소비자 스스로 선택하도록 놔두는 게 원칙이라는 얘기다.

 

 그러나 부분정비의 경쟁을 위해선 최소 경쟁 보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는 중이다. 완성차회사가 부품 유통을 위해 협력점을 확대하는 측면도 있는 만큼 서비스 부품 가격 경쟁이 이뤄지려면 부분정비에서 힘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는 얘기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부분정비 사업자들의 힘이 약해지만 완성차나 대기업 계열의 부분정비 가맹점에 공급되는 서비스 부품 가격이 오를 수도 있다"며 "그렇게 되면 분명 소비자에게 불이익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완성차업계는 "수입차는 몰라도 국산차는 서비스에서 거의 수익이 없다"며 "말 그대로 소비자 서비스 측면에서만 운영하는 것"이라고 맞섰다.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출처-오토타임즈

 

 

 

 

<본 기사의 저작권은 오토타임즈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