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소형차가 계륵(鷄肋)이라는 인식이 강해지고 있다.

 

 30일 수입차 업계에 따르면 수입 소형차 시장은 그야말로 존재감이 희박하다. 업계 안팎에선 마치 수입 소형차 시대가 활짝 열린 것처럼 반응하지만 정작 판매량은 미미한 것. 실제로 현재 각 사가 판매중인 소형차는 전체 신규 등록대수(3월 기준)에서 4.9% 비중을 차지하고 있을 뿐이다.

 

 
 소형차 부진의 원인은 근본적으로 '돈' 때문이다. 하지만 관점에 따른 입장은 천차만별이다. 우선 소비자는 '너무 비싸다'는 의견이다. 수입 소형차의 경우 가격에 비해 크기나 편의장치가 충분치 않아 선뜻 구매가 어렵다는 것. 과거와 달리 단순히 '수입차'인 점만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반대로 판매사는 '너무 저렴하다'는 주장이다. 즉, 수입 소형차 가격이 너무 낮아 기대 이익도 높지 않다는 뜻. 한 대를 팔기 위해 들이는 노력과 시간은 소형차 및 중형차와 다르지 않은데 반해 마진이 적어 굳이 소형차를 판매해야 하느냐는 볼멘 소리가 터져 나온다. 이득을 챙기려면 '박리다매(薄利多賣)'를 노려야 하지만 그만큼 많은 시간과 노력도 필요하다는 얘기다. 때문에 일부 영업사원의 경우 소형차 판매 자체를 기피, 수입 소형차 판매량이 늘어날 수 없다.

 

 수입사도 난처하기는 마찬가지다. 역시 늘 가격이 문제다. 수입사가 생각하는 제 값을 받는다면 소비자가 납득을 못하고, 가격을 낮추면 마진을 포기해야 한다. 한마디로 현재 소형차 러시는 판매사에게 '울며 겨자 먹기'라는 인식이 강하다. 덕분에 소형차 시장에 대한 업체 반응도 회의적일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소형차를 포기할 수도 없다. 중R28;대형 시장은 이미 성장의 끝이 보이는 포화 상태여서 새로운 시장의 개척이 필요해서다.  이에 따라 수입 소형차 존재를 판매가 아닌 미끼 차종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결국 주력 차종 판매를 위한 소비자 유인책으로 역할을 축소하는 것.

 

 BMW 1시리즈가 그런 경우다. 폭스바겐 폴로 역시 골프 판매를 위한 유인구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출시가 예정된 벤츠 A클래스도 B클래스의 국내 지위를 감안할 때 주력 차종을 보완하는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가장 악수(惡手)는 소형차종에 집중하는 경우다. 브랜드 내 소형차 외 다른 대안이 없어서다. 시트로엥이나 피아트가 여기에 해당한다. 주력으로 삼는 소형차가 부진하면 브랜드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의미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수입 소형차는 가격에 대한 이해 대립이 아주 첨예한 차급"이라며 "현 상황에선 수입차, 판매사, 소비자 모두 만족할 수 없는 구조임에 틀림없다"고 전했다. 이어 "하지만 시장 확대라는 명제가 분명한 만큼 수입하지 않을 수도 없다"며 "때문에 큰 비중을 두지 않고, 역할을 축소한다"고 덧붙였다.

 

 

박진우 기자 kuhiro@autotimes.co.kr
출처-오토타임즈

 

 

 

<본 기사의 저작권은 오토타임즈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