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자동차 광주공장이 비정규직 노조원의 분신 사건을 계기로 노사협의에 나서 비정규직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될지 주목되고 있다.

 

 21일 기아자동차 광주공장 노사에 따르면 최근 비정규직 노조원의 분신 사건 발생 후 노조의 특별교섭 요청을 사측이 받아들여 지난 19일 첫 노사협의를 벌였다.

 

 2시간여 동안 진행된 특별교섭에서 별 성과를 내지는 못했으나 양측 간사는 추후 노사협의 일정을 논의하기로 했다.

 

 비정규직 문제가 워낙 뿌리깊기 때문에 당장 해결하기는 어렵다 하더라도 노조원 분신 사건을 계기로 이뤄진 이날 협의가 실마리가 될 수 있을지 비정규직들에 기대감을 안겨주는 것이 사실이다.

 

 기아차 광주공장에 근무하는 비정규직은 모두 450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사업장에서 하도급회사 직원을 생산과정에 투입하고 직접 작업 지시를 함으로써 불법으로 규정된 것과 달리 기아차 광주공장은 생산과정 일부를 떼어 하청을 주고 하청회사에서 직접 비정규직을 통제하게 함으로써 불법 시비를 비켜가고 있다.

 

 그러나 비정규직들은 정규직과 같거나 오히려 힘든 일을 하는데도 급여는 60∼70%에 그치는 등 부당한 대우를 받는다고 호소하고 있다.

 

 특히 정규직들이 꺼리는 허드렛일을 도맡아 하고 심지어 비인격적인 대우를 당하기도 하는 등 근무 과정에서 정규직과의 차별은 심각하다고 주장했다.

 

 기아차 노조 광주지회 비정규직분회는 지난 2월 중순부터 광주2공장 앞에 천막을 치고 신규 직원을 채용할 때 기존 비정규직을 우선 채용하라고 요구하며 농성을 벌여왔다.

 

 그러던 중에 지난 16일 오후 분회 조직부장 김모(37)씨가 '비정규직 철폐' 등을 외치며 분신, 병원으로 옮겨지면서 이 문제가 쟁점으로 떠올랐다.

 

 특히 이들은 최근 노사가 신규 채용 때 장기근속 자녀에게 가산점을 확대하는 방안에 합의하자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이 같은 합의를 이번 광주공장 신규 채용부터 적용할 것으로 알려지자 각계에서 '일자리 대물림'이라는 비판이 쏟아지면서 비정규직 문제가 쟁점으로 떠올랐다.

 

 그러나 이번 기아차 광주공장의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특별교섭이 별 성과를 내지 못하고 끝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비정규직 문제가 기아차 광주공장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대기업 생산현장에서 공공연히 이뤄지는 한국 사회 전체 문제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비정규직만 6천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진 현대자동차는 10여 년째 논의를 하고 있지만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는 세계 자동차 소비 시장의 변화에 재빠르게 대처해야 하는 사업자 측이 고용의 유연성을 확보할 방안으로 사실상 비정규직을 활용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 그동안 정규직 노조도 노사 협상 과정에서 비정규직 문제를 자신들의 일처럼 적극 대처하지 않는 분위기였다.

 

 이번 특별교섭은 장기근속자 자녀에 대한 혜택을 확대하는 노사합의에 대한 비판이 노조 측에 집중되고 여기에 분신 사건까지 발생하자 노조가 파업을 예고하면서 사측을 압박해 이끌어낸 것이다.

 

 노조의 한 관계자는 "이번 첫 특별교섭은 분위기가 격앙된 상태에서 상견례 형식으로 이뤄져 별 성과가 없었다"며 "앞으로의 협상도 사측의 태도에 따라 길어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재선 기자 kjsun@yna.co.kr
출처-연합뉴스

 

 

 

<본 기사의 저작권은 연합뉴스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