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트가 500(친퀘첸토)을 내세워 한국 시장을 다시 두드렸다. 특히 500은 존재만으로도 가치를 입증하는 차로 정평이 나 있다. 어디에서나 눈길을 끄는 특별함(?)을 가지고 있어서다. 경차 급의 작은 체구에 1.4ℓ 심장이 탑재돼 다부진 성능을 발휘한다. 국내에선 500과 컨버터블 버전인 500C가 동시에 판매된다. 이 가운데 시승은 500으로 진행됐다. 
 
 ▲스타일
 한 폭의 그림 같다. 화려한 유화나 수채화 등의 정통 회화가 아닌 팝아트 느낌이 물씬 풍긴다. 팝아트가 젊은 세대에 인기가 많다는 점을 생각해본다면 500 또한 젊은 차라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다.

 

 두 개의 동그란 헤드램프는 귀엽다. 그릴 중앙 피아트 로고와 함께 좌우로 뻗은 크롬바는 마치 고양이 수염 같다. 전체적으로 일본 애니메이션 슈퍼스타 '피카추'가 떠오른다. 주황색 안개등은 홍조를 띈 볼 살이다. 게다가 왜소한 체구는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경차 분류는 되지 않았다. 너비가 1,640㎜로 경차 규격인 1,600㎜를 조금 넘기 때문이다. 

 

 문은 모두 3개다. 뒷좌석에 타고 내릴 때는 불편하지만 3도어 특유의 귀여운 맛은 있다. 그래서 피아트 500은 어디까지나 틈새 차종이다. 시장 규모가 크지 않은 데다 프리미엄을 강조할 때 수반되는 가격 부담도 있어서다.

 

 측면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안정적인 형태다. 트렁크 해치가 앞으로 누운 탓이다. 후면 역시 단촐하지만 앙증맞다. 네모난 리어램프는 크롬으로 둘러 스마트한 분위기를 낸다.
 
 문을 열고 탑승했다. 약간 묵직하게 열린다. 경차 스타일답게 천정은 높은 편이다. 오르고 내리는 데 큰 불편이 없다. 다만 시트 포지션은 수동 조절 시트임에도 낮지 않다. 신장 175㎝의 남자가 머리를 세웠다면 끝이 닿아 신경이 거슬린다.
 
 실내 역시 단순함이 강점이다. 차체 색상과 동일한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구성도 단순하다. 센터페시어 최상단에는 통풍구가 달려 있고, 라디오 조작부가 위치한다. 이어 버튼 방식의 공조장치 조작부, 당구공 모양의 끝이 귀여운 기어 노브가 채용됐다.
 
 전반적으로 동글동글한 그래픽이다. 특이한 건 계기반인데, 미니와 비슷한 감성이다. 가장자리 원은 속도를, 그 안의 작은 원은 엔진 회전계다. 그 사이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트립 컴퓨터 창이 들어갔다.
 
 ▲성능
 500에는 1.4ℓ 멀티에어 가솔린 엔진이 장착됐다. 최고 102마력 12.8㎏・m의 토크이며, 변속기는 6단 자동이다.
 
 가속 페달을 밟았다. 약간 날카로운 크랭크축 회전음이 실내로 유입된다. 사람마다 느끼는 정도는 다르겠지만 개인적으로 불만은 없다. 오히려 모터바이크 느낌이 들어 재미있다. 굳이 소형차급에서 고급 세단의 정숙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스티어링 휠 무게감은 가벼운 편이다. 돌리기 쉬워 운전하기도 편하다. 마치 조그만 장난감을 조작하는 것 같다. 센터페시어 표면의 스포츠모드 버튼을 누르면 엔진회전수가 급격히 오르면서 가속을 재촉한다. 이 때는 작지만 다부지게 치고 나간다.
 
 서스펜션은 단단한 편이다. 통통 튀는 맛이 있다. 작은 차체에 비교적 큰 배기량의 엔진을 탑재한 탓이다. 게다가 속도를 내는 일도 거침없다. 기본적으로 고속도로 제한속도까지 전혀 무리가 없다. 이후 속도에서도 가속 페달 답력에 따라 원하는 속도에 충분히 올라선다. 물론 한계는 있다. 그래도 이 정도 차급에선 훌륭하다.
 
 직선에선 별다른 스트레스를 발견하기 힘들다. 순발력이 강해 성능에 큰 불만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곡선은 단단한 서스펜션 세팅에도 불구하고 노면을 움켜쥐는 맛이 덜하다. 각종 전자 장비를 동원해 인위적인 코너링을 만들어 내는 추세와 비교하면 500은 날 것 그대로다.
 
 ▲총평
 피아트 500은 특이하다. 우선 디자인이 그렇고, 차급에 어울리지 않는 성능도 특이하다. 다만 아쉬운 점은 한국 내 가격 정책이다. 여러 요소를 넣었지만 소비자가 납득할 수 없는 가격이라는 불만이 많다. 이는 시승 때도 마찬가지다. 비싸야 할 이유를 크게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피아트로선 미니(Mini)에 버금가는 자존심을 지켰는지 모르지만 소비자 체감 가격은 그렇지 않다. 그래서 고전 중이다. 하지만 피아트는 국내 인지도가 높지 않다는 점에서 아직 결론은 시기상조라고 말한다. 따라서 더욱 지켜보는 수밖에 없다. 

 


 


박진우 기자 kuhiro@autotimes.co.kr
권윤경 기자 kwon@autotimes.co.kr
출처-오토타임즈

 

 

 

<본 기사의 저작권은 오토타임즈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