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1일 자동차 '급발진' 사고에 대한 2차 조사 결과를 내놓았지만 급발진을 둘러싼 논란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합동조사반을 구성해 급발진 의심 사고관련 차량인 BMW 528i의 기계적·전자적 이상 현상을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사고 순간에 제동등이 점등하고 ABS가 작동한 기록이 확인된 만큼 정부는 제작사인 BMW에 명확한 기술적 소명을 요구해놓은 상태다.

 

 이런 발표를 놓고 전문가와 소비자들은 "의혹을 해소하지 못한 조사"라고 지적하고 있다.

 

 한국자동차품질연합의 김종훈 대표는 "제동등이 점등됐고 ABS가 작동한 부분에 대해 제작사 해명을 받아 조사 결과에 포함해야 하는데 '자동차 결함은 없지만 제동등은 작동됐다'고 발표하면 의혹만 커진다"며 "정부라면 소비자에게 믿을 만한 조사 결과를 줘야 하는 게 아니냐"고 되물었다.

 

 조사 방식에 대한 의문도 여전하다.

 

 올 8월 1차 조사 결과 발표에서는 일부 사고 차량의 사고기록장치(EDR) 분석 결과 차량에 별다른 결함이 없었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때도 에어백이 터지기 전 정보를 기록하는 장치인 EDR이 급발진을 증명하는 용도로 정확하지 않을 뿐더러 EDR 기록·분석에 오류 가능이 있어 의혹을 규명하는 데 적절치 않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조사단은 이날 YF소나타 LPG 승용차와 SM5 LPG 승용차의 EDR을 공개했으나 급발진 여부는 가리지 못했다. YF소나타 LPG는 EDR과 컴퓨터 사이 통신 연결이 안됐고 SM5 LPG는 장착된 EDR이 속도만 기록하는 구형이어서 단서를 포착하지 못했다.

 

 또 다른 급발진 의심 사고차량인 YF쏘나타 차주 권모 씨는 그간 EDR을 분석하는 일정과 장치를 정부 측이 일방적으로 결정하는 등 조사 과정에 신뢰성이 떨어졌다며 "피해자는 EDR 장비에 손도 못대게 하고 결과물을 출력해 제공하지도 않는 기자회견에는 참여할 수 없다"고 말했다.

 

 나아가 정부가 실험을 통해 급발진에 대한 의혹을 밝히려는 시도 자체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급발진이라는 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보고되고는 있으나 정확한 원인을 찾지는 못하고 있는 만큼 급발진 원인에 대한 일시적 조사보다는 실재하는 현상을 인정하고 피해 구제에 나서는 것이 정부의 몫이라는 것이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미국항공우주국(NASA) 과학자까지 나섰지만 급발진 원인을 밝히지 못했다. 급발진은 나중에 재연한다거나 명확한 물증을 잡기 어려운 문제"라며 "정부는 무엇을 발표하더라도 좋은 소리를 들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렇게 일시적인 조사단을 구성할 게 아니라 국토부에 급발진과 관련한 상설 위원회를 둬 선의의 피해자를 구제하고 급발진 사고 예방 방법, 사고 시 대처 방법 등을 알림으로써 사고 자체를 줄이는 데 집중하는 게 낫다"고 강조했다.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상에도 "정부가 급발진이 제조사 책임이 아니라는 면죄부만 준 꼴이 아니냐"고 비판하는 소비자들의 글이 쏟아지고 있다.

 


김지연 기자 cherora@yna.co.kr

출처-연합뉴스

 

 

 

<본 기사의 저작권은 연합뉴스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