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자동차 연료효율이 이슈로 떠올랐다. 얼마 전 미국에서 현대기아차를 상대로 7억7,500만 달러(8,435억원) 규모의 집단 소송이 제기됐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현대기아차가 실제 효율보다 공인 효율을 높게 발표했다는 소비자 단체의 주장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지난해 에너지 관리공단이 공인 시험기관 4곳에 의뢰한 연비 재검증 결과 검증대상 25개 차종 가운데 17개 차종의 68%가 표기된 효율보다 낮았다. 그 중 두 차종은 4% 가깝게 차이가 발생했다.

 

 
 이런 연비 측정의 논란은 언제나 '저항계수'가 문제다. 연료효율은 도로 상태와 공차 중량, 온도 등 다양한 조건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조건은 일정 기준을 정해 공통 사용하게 된다. 이번에 논란이 된 주행 저항은 어떤 제조사든 미국공업협회 규정에 따르도록 돼 있다. 해당 규정에 의하면 주행저항은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그에 따른 수준의 표면에서 시험한다'는 항목이 있다. 미국 환경보호청은 이 항목에 표기된 '아스팔트'가 미국의 시멘트 노면이라는 입장을 전달했다. 주행저항 측정을 순수 아스팔트에서 해온 점을 지적한 것이다.

 

 이처럼 연료효율이 민감 요소로 떠오른 데는 비싼 기름값 때문이다. 경제적인 이유로 효율이 높은 차를 선택하는 사람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셈이다. 이런 이유로 에너지관리공단은 자동차 공인 효율을 일관된 기준으로 측정 또는 검증하면서 해당 결과를 공개하면서 자동차에 표기토록 의무화 하고 있다.

 

 사실 좋은 엔진, 가벼운 차체, 효율적인 변속기가 뒷받침된다면 당연히 효율은 높아진다. 하지만 그만큼 제품가격도 비싸진다. 하지만 '급출발, 급제동'을 하지 않고, 트렁크만 비워도 효율은 순식간에 오른다. 기름도 필요량만 넣고, 과속보다 정속주행, 타이어 체크만 게을리 하지 않아도 효과를 볼 수 있다. 고속주행 시 창문 닫기, 정지신호 대기 중 변속레버를 N(중립)에 놓기 등도 보탬이 된다. 이렇게 하면 최대 30%까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런 운전을 유도하는 기능이 바로 '에코드라이빙 시스템'이다. 운전 습관을 교정해 주는 기능인데, 실제 교정에 상당한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완성차회사의 에코 기능 적용은 확장 추세다. 물리적인 기계 변화로는 급격한 효율 상승을 얻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에코 기능은 클러스터 내 램프 점등이 일반적이지만 일부 중소기업은 자동차 내에 OBD(On Board Diagnostics)와 같은 커넥터를 연결해 주행, 엔진회전수(RPM), 자가진단 등을 운전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내놓기도 한다. 내비게이션에서부터 스마트 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동도 가능하다.

 

 우리나라 운전자는 대부분 급하고 거칠다. 따라서 공인 효율이 제아무리 좋아도 운전자가 만족하지 못한다. 그래서 운전습관을 바꾸는 게 우선이다. 지속적으로 '친환경/경제 운전왕 선발대회'와 같은 홍보나 캠페인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김태식(자동차전장칼럼니스트, 재능대학 교수) autosoftcar@gmail.com

출처-오토타임즈

 

 

 

<본 기사의 저작권은 오토타임즈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