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가 물체와 충돌할 때 충격량은 시간에 반비례한다. 충돌 시간이 길면 길수록 충격이 흡수돼 충격량은 작아진다. 그래서 충돌 시간을 조금이라도 늘리기 위해 차의 앞부분과 뒷부분을 잘 구겨질 수 있는 지그재그 모양으로 만든다. 이 구조를 ‘크럼플 존’이라고 부른다. 이 부분은 차가 부딪치는 순간 적당한 구겨짐을 통해 차의 충돌 속도와 충격량을 줄여준다.

 

 차가 1m가량 찌그러지는 동안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힘은 크럼플 존으로 인해 90%가량 흡수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앞쪽과 뒤쪽 크럼플 존 사이에는 튼튼한 강철 구조로 만들어진 탑승자 안전 케이지가 있다. 인체의 뼈대에 해당한다. 충돌하거나 뒤집혀도 원래 형태를 유지해 탑승자가 갇히지 않게 한다.

 

 크럼플 존과 안전 케이지가 있지만 안심할 수는 없다.

 

 질량이 크고 속도가 빠른 자동차가 충돌할 때 발생하는 관성력은 탑승자의 생명을 노릴 만큼 위협적이다. 그래서 자동차 설계자들은 최첨단 과학기술을 접목해 다양한 장치를 곳곳에 설치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에어백이다. 에어백은 충돌시 빠르게 부풀어 공기주머니를 형성, 승객을 보호한다. 
 


 에어백 감지기에 급격한 감속이 포착되면 순식간에 에어백이 팽창한다. 간혹 충돌사고 때 에어백 쿠션이 나오는 것을 목격했다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는 불가능한 얘기다. 0.0001초보다 짧은 순식간에 벌어지는 일이기 때문이다.

 

 안전벨트는 충돌사고 때 생존 확률을 60~70% 높여준다. 관성력으로 탑승자가 앞 유리창 밖으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하고 충격의 힘을 몸의 넓은 곳으로 분산시켜 부상을 줄인다.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도 많다. 졸음운전으로 차선 이탈 때 센서가 감지해 안전벨트를 꽉 조여주는 LKAS 시스템, 주행 중 앞차와의 간격이 지나치게 좁혀지면 자동으로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액티브 브레이크 시스템 등이다.

 

 

자료 제공=현대모비스 기술연구소

출처-한국경제

 

 

 

<본 기사의 저작권은 한국경제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