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이 생각하는 그런 단점들.. ????
그런것 아닙니다.
뭐 Kpa에서 ->Psi 단위로도 바뀝니다.
단위에서
미터 Meter,미국단위 US, 영국단위Imperial
언어설정 만지면 영문계기판으로도 나옵니다.
함정은?.. 솔직히 이거 함정이라고도 뭐한것이 ..
차량 단위자체가 다 바뀌기 때문에.. 어찌보면 당연함..
US.Imperial단위로 할 경우 Km->Mile단위로
Liter->Gallon단위로 바뀌기도 합니다.
뭐.. 이건 별것 아니기 때문에.
(그냥 타이어 공기압 단위 변환 흔히 익숙한 psi(34니. 32니)
단위로 잠깐 확인하는 용도이기 때문에..
그리고 위의 타이어 공기압 다른것..
보통 타이어 공기압 넣을때. 그냥 타이어점이나 정비소, 주유소가서 바로 넣죠.
뭐 타이어 냉각, 이런것 . 몇시간동안 세워두고 이런것 실제적으로 자기 정비소 아닌 다음에는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아침마다 요쪽 타이어 저쪽타이어 공기압이 4-8(kpa단위)정도는 달라집니다.
야외인 경우 햇빛이 비치는 장소, 바람이 부는 장소.. 이렇게 해서 ..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죠.
정확히 맞출려면 피터팬님 말처럼 3시간 동안 타이어를 충분히 냉각시키고
디지탈 공기압으로 컴프레서 다시 셋팅한다음에. 그 다음날 다시 공기압을 약간 가감하는 형식..
이렇게 하면 잘 맞을지 모르겠습니다. 사실상.. 이렇게 까지 공기압 넣는분 드뭅니다.
문제는 뭘까요?>??????????????????
이거 쉐보레 차량을 이용하는 사람도 잘 모릅니다.
크루즈의 경우 12년식(2011년7월?~2012년 6월)의 경우
TPMS 자가 셋팅이 가능했습니다.
이를테면 TPMS화면에서 좌측에 있는 Set, Clear버튼 조금 누르고 있으면
TPMS재 학습 화면이 이렇게 뜹니다.
예를 선택하면 운전석쪽 타이어 부터 빵빵 하면서 울리고 깜빡이로
그쪽 타이어에 공기압을 보충, 또는 빼주면 됩니다.
아래 사진에 보시는 트렁크에 있는 타이어 리페어킷중 컴프레서로
하면 되겠죠..
이렇게 하면 자가 셋팅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13년형(2012년 6~)부터는 이 자가셋팅 기능을 막아 두었습니다.
메뉴는 뜨지만, 실제적으로 해도 안된다는것이죠.
(BCM에서 자가셋팅기능 막아둠.)
그래서 결과는??????
물론 원래 기존에 달린 TPMS라면 별다른 오류없이 제셋팅 과정없이.
TPMS완료 됩니다.
하지만. 앞에것이 30, 30 이었고.
뒤에 타이어가 32, 32였는데
타이어의 위치교환(앞뒤로 했다)을 했다.. +_+
이럴 경우
제 셋팅하지 않으면 32:32는 앞타이어에 장착해도 뒷타이어로 TPMS창에 표시되며
30,30은 뒷타이어에 장착해도 앞타어로 TPMS창에 표시된다.
요약하자면 타이어 위치교환후
TPMS를 제셋팅하지 않으면 타이어 위치가 바르게 표시되질 않습니다.
이 제셋팅을 하기 위해서는 이런 기계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대략 1-2분만에 좀 허무(?)하게 끝나지만
규정대로 라면 수수료 청구합니다.(10,000원)(TPMS제 샛팅비용.)
대충 위와 비슷한 기계들.. 가끔 TPMS 셋팅하셨을때 보셧을겁니다.
긴말 필요없고 요약하자면
타이어 위치 교환시.. TPMS 제셋팅을 해야(13년형부터는 자가 셋팅 불가능 쉐보레 정비소를 찾아가야 함)..
각 타이어의 위치에 따른 공기압 위치가 바르게 표시가 된다.
(자동으로 안된다).
타이어 수명이 다되어서
휠 타이어 교환시 이 제셋팅을 하지 않으려면 기존 TPMS가 적용된 위치를 정확히 명기해 두는것이 좋다.
(이를테면 앞타이어의 운전석은 운전석, 조수석은 조수석 요렇게 명기)
그러므로 타이어 매장가서 타이어를 교환한후..기존 TPMS와 위치가 달라져 있을 경우 .
제셋팅을 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존 TPMS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해 두자).
싸다고 타이어 매장가서 TPMS 차량 휠 앞뒤,좌우 구분없이 막 끼웠다가는 어느날..
운전석에 바람을 넣었는데. 조수석,뒷좌석에 압력이 증가하더라. 이런 경우도 맛볼수 있다.. +__+
그리고 저처럼 겨울에 스노우타이어와 일반타이어를
기존휠이 아닌 새로운 휠에 기존에 있던것이 아닌 기존 TPMS가 아닌
새로운 TPMS를 따로 구입해서 장착한 경우.
이건 100%. TPMS제셋팅을 해야한다.
(요건 빼도 박도 못함.. +_+)
특히나 순정휠에서 사제휠 바꾼다고 좋아하더라도. 기존 TPMS위치는 정확히 알아두자.
(특히 차를 새로 구입하고 서비스센터에 연고가 없을경우.. 그냥 10,000원 지불.ㅋㅋ)
그래서 기존 휠 타이어 위치교환정도는 타이어 매장이나 일반 정비소 보다는
쉐보레 지정정비소를 이용하는것이 금액적으로 보면 아주 가끔 유리할때도 있다.
(이때는 TPMS비용 별도 청구 안함. ㅋㅋㅋ)
하지만 타이어 교환인 경우 당연히 타이어 매장이 대부분 유리함.. +_+
보통 서비스센터의 타이어는 가격이 비싼것이 보통이다.
요때는 10,000원을 절감하기 위해서 기존 휠의 위치를 잘 파악해 두자.
이유는???????
지정정비소에 안면이 없는 경우에는.. 규정대로 하자면 TPMS제셋팅비용으로 꼬박꼬박 10,000을 청구하는것이
보통이다..
개별타이어 공기압이 나오는 크루즈,올란도,말리부의 경우 년식에 따라서 위와 같은 불필요한 비용이
청구될수도 있습니다..(12년형 까지는 크루즈는 자가셋팅가능.. 13년형부터는 BCM에서 막아놓음)
기존 자가셋팅을 불가하게 만드는 효과는
소비자로 하여금.. 일단 비용발생(규정대로라면 10,000원... ㅅㅂ)
시간 낭비(타이어 가게에서 타이어를 교환하고 다시 TPMS셋팅을 받으러 지정정비소 가야함).
가 발생할수도 있다.
그리고 중요한것.
Norah님의 콜벳은..
사업소든 정비소든..
TPMS제 셋팅비용은 무료입니다.+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