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대한민국 육군의 전쟁 시나리오가 나왔다. 첨단 IT장비로 무장한 '미래병사' 약간 명을 제외한 모든 전투를 자동화 된 '군사용 로봇'과 IT 기술을 이용해 치러낸다는 이 시나리오는 지난 10일 개최된 '제 13회 지상무기체계 발전 세미나'에서 발표됐다. 무인정찰기, 장갑차 로봇 등으로 치러지는 무인전투...'지상전 시나리오' 우리나라 육군은 군단·사단급 부대에 각기 사람이 탑승하지 않는 무인 로봇 정찰기를 운용하고, 이를 이용해 전 주력부대의 위치와 화력 정도를 파악해 대규모 지상전에 대비할 계획이다. 무인 정찰기에 의해 탐지된 적의 상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선 장갑차 형태의 '다목적감시정찰로봇'과 총 6개의 바퀴로 구성된 '근접감시 정찰로봇'이 동원된다. 근접감시 정찰 로봇은 6개의 바퀴 중 1~2개가 파손되더라도 '구동복구' 기능을 통해 부대로 돌아올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잠수함에 사용되는 '잠망경' 과 유사한 탐지장치를 사용해 모습을 나타내지 않고도 정찰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 적군이 지뢰를 매설했을 경우 안전하게 지뢰를 제거할 수 있는 '지뢰탐지 로봇'이 사용될 전망이다. 이 로봇은 나무 등의 장애물이 앞을 가로막을 경우 내장된 전동 톱으로 제거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지뢰의 탐색·제거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대규모의 지뢰가 매설된 것이 확인되면 '지휘통제 차량'에 정보를 전송하고 경로확보용 미사일 등을 사용해 넓은 지역의 지뢰를 한꺼번에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미 개발이 추진 중인 차륜형, 보행형 견마 로봇 등은 다목적으로 사용되는 전투 로봇이다. 참호 등에 숨어 있는 적을 타격하는 등 미래 병사의 전투를 다목적으로 보조한다. 자율주행 및 유무선 조종이 가능하도록 제작될 계획이다. 적군의 위치와 전투 시나리오가 완성되면 탱크 형태의 '중전투로봇'이 나선다. 이 로봇은 대구경 포를 이용해 적 기계화 부대를 타격할 수 있으며, 아군의 주력 육군이 나설 때까지 적의 선두를 제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테러걱정 없는 세상..."로봇 이용한 시가지 전투 등장할 것" 적 부대 또는 테러리스트들이 점거한 시가지를 정찰하는 임무는 '근접감시정찰로봇'이 맡게 된다. 동시에 원통형의 초소형 무인 비행체를 동원해 적군의 위치와 무장 정도를 확보하게 된다. 근접감시정찰로봇으로부터 정보가 입수되면 즉시'지휘통제차량'의 명령으로 전송되며, 육군은 다연장로켓과 기관총 등으로 무장된 '경전투 로봇'을 출동시키게 된다. '휴대용 감시정찰로봇'은 경전투 로봇의 몸체 속에서 출동할 수 있는 소형 로봇이다. 현장에 도착하면 건물의 계단을 타고 오를 수 있어 적군 바로 앞까지 신속하게 이동, 적군의 위치와 무장 정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미래 병사들의 표준장비로 수류탄과 유사한 크기로 제작되는 '투척형 감시로봇' 역시 개발될 계획이다. 이 로봇은 미래병사가 적군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 던져 넣는 것만으로 주위의 모든 정보를 습득, 병사가 소지하고 있는 손목형 컴퓨터에 전달해 주게 된다. 각계 로봇 전문가, "힘 합쳐 자주국방 이룩하자" 주장...국방지상로봇 포럼 지상무기체계발전세미나의 일환으로 10일 ADD 복지관에서 열린 '국방지상로봇 포럼'에서는 군의 로봇 전문가를 비롯해 내로라하는 産·學·硏·官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미래 지상군의 발전상을 논의했다. 이날 각계 전문가들은 "로봇 기술을 실제 전투에 응용하기 위해선 군을 비롯한 산·학·연 전문가들이 힘을 합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포럼에 참석한 권동수 KAIST 교수('인간-로봇 상호작용 핵심연구센터)는 "KAIST에서 연구 중인 많은 로봇기술은 즉시 군사용 로봇에 적용할 수 있는 것들이 많다"며 "군·민간의 기술을 구분하지 말고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국방로봇, 군사로봇, 전투로봇 등으로 구분되는 명칭을 통일하는 것이 옳다고 보고, 민간용 로봇과 쉽게 구분될 수 있도록 '군사용 로봇'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도 나왔다. 로봇이 동원되는 시스템의 이름은 '무인전투체제'라고 칭하는 것이 옳겠다는 주장도 이어졌다. 한편 국방부는 발표된 로봇 시나리오의 현실화를 위해 핵심기술 예산을 2020년까지 15% 이상을 대폭 증대해 나갈 계획이다.